01. 지식재산권의 이해

   • 정의 : 법령 또는 조약 등에 따라 인정되거나 보호되는 유형, 무형의 지식재산에 관한 권리
    유형 : 저작권, 산업재산권, 신지식재산권

 

02. 저작권의 이해

  가) 저작권의 정의와 분류

    ① 저작권의 정의

         정의 : 일반적으로 법에 의하여 저작물의 저작자에게 부여하는 배타적인 권리

        • 종류: 저작인격권, 저작재산권, 저작인접권

    ② 저작물의 유형

    ③ 업무상저작물

          업무상저작물이란 법인 • 단체, 법인 등의 기획하에 법인등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가 업무상 작성하는 저작물

   

    ④ 소프트웨어 저작권

          소프트웨어 저작물 개념 : 컴퓨터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대해 기술 어문 저작물을 총칭

          소프트웨어 저작물 구성 : 프로그램 언어, 프로토콜, 알고리즘, 소스코드와 목적코드 프로그램의 구조 • 배열방법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 소프트웨어 저작자가 다른 사람에게 일정한 행위를 할 수 있는 권한 부여

 

    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저작권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념 :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로 자유롭게 사용/복제/배포/ 수정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오픈소스 라이선스도 저작권 등 지적재산권으로 보호받기 때문에 지켜야 할 의무사항들을 이행 필요)

         

             오픈소스 소프트에어 라이선스 종류

             오픈소스 소프트에어 라이선스 특징 비교

    ⑥ 저작권법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

          • 헌법 • 법률 • 조약 • 명령 • 조례 및 규칙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 • 공고 • 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에 대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 한 편집물 또는 번역물
          • 법원의 판결 • 결정 • 명령 및 심판01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01와 유사한 절차에 따른 의결 • 결정 등
          •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보도

 

     ⑦ 저작권 보호기간

          보호기간이 만료된 저작물은 저작자의 이용허락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용 가능

     ⑧ 저작권 등록의 개념

          저작자의 성명 등 저작물에 관한 사실관계와 법률관계를 저작권 등록부에 등재 하여 국민에게 공시하는 것

          - 저작자는 다음의 사항을 등록 가능
             • 저작자의 실명 • 이명(공표 당시에 이명을 사용한 경우에 한함〉• 국적 • 주소 또는 거소
             • 저작물의 제호 • 종류 • 창작 연월일
             • 공표의 여부 및 맨 처음 공표된 국가 • 공표 연월일
             • 2차적저작물의 경우 원저작물의 제호 및 저작자
             • 저작물이 공표된 경우에는 그 저작물이 공표된 매체에 관한 정보
             • 등록권리자가 2명 이상인 경우 각자의 지분에 관한 사항

          - 저작권을 등록하려고 할 때는 다음의 서류를 한국저작권위원회에 제출 필요
             • 저작권등록신청서(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등록신청서)
             • 저작권등록 신청명세서(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등록신청명세서)
             • 등록과 관련한 복제물이나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도면 • 사진 등의 서류 또는 전자적 기록매체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복제물을 수록한 전자적 기록매체 1부).

               프로그램 내용의 일부만으로 창작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일부를 발췌하여 제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컴퓨터에 의해 변환되기 전의 프로그램 언어로 표시된 것을 제출
             

03. 산업재산권과 신지식재산권의 이해

  가) 산업재산권의 개념

    ① 산업재산권의 정의와 유형

         정의 : 산업재산권은 산업상 보호 가치가 있는 권리를 모두 포함하는 권리 

        • 종류 : 특허권, 실용신안권, 디자인권, 상표권

    ② 산업재산권의 취득

        산업재산권은 특허청에 등록을 함으로써 취득된다.
        등록에는 선출원주의가 적용되며, 등록을 한 나라에 한하여 보호되므로 각국에 별도로 출원해야지만 권리가 인정

       (특허법 제38조, 실용신안법 제8조, 디자인법 제16조,상표법 제9조).
        산업재산권은 창작자에게 일정 기간 독점적 • 배타적 권리를 부여하는 대신 그 기간이 지나면 누구나 이용 가능

 

  나) 신지식재산권의 개념과 유형

    ① 산업재산권의 정의와 유형

        정의 : 특허권, 저작권 등의 전통적인 지식재산권 범주로는 보호가 어려운 컴퓨터 프로그램, 유전자조작동식물, 

        반도체설계. 인터 넷. 캐릭터산업 등과 관련된 지적재산권을 신지식재산권이라고 한다.
        유형 :
          • 산업저작권: 컴퓨터프로그램,인공지능, 데이터베이스 등
          • 첨단산업재산권: 반도체집적회로 배치설계. 생명공학 분야
          • 정보재산권: 영업비밀, 멀티미디어 등

04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의 이해

  가) 부정경쟁방지의 개념

    ① 부정경쟁행위의 개념

         정의 : 타인의 상표 • 상호등을 부정 사용하는 등의 부정경쟁 행위와 타인의 영업비밀을 침해하는 행위

    ② 영업비밀의 개념

        정의 : 공공연히 알려져 있지 아니하고 독립된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영업 비밀

        기업의 비밀로 유지된 생산방법, 판매방법, 그 밖에 영업활동에 유용한 기술 또는 경영 정보

        영업비밀 침해행위 :  

          - 절취,기망, 협박 그 밖의 부정한 수단으로 영업비밀을 취득하는 행위

          - 영업비밀을 취득한 후에 그 영업비밀에 대하여 영업비밀을 사용하거나 공개하는 행위

          - 부정한 이익을 얻거나 그 영업비밀의 보유자 에게 손해를 입힐 목적으로 그 영업비밀을 사용하거나 공개하는 행위

 

1. 직업윤리의 개념 이해

가) 직업윤리의 개념

(1) 직업윤리의 정의

-.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직업에 종사하는 과정에서 지켜야 마땅히 할 행동 규범을 의미한다.

-. 직장: 자아 실현 + 타인 관계 상호작용

직업윤리: 직업이라는 특수상황에서 요구되는 개인의 마음가짐, 직업과 일에 대한 태도 및 관련 행위, 상호 관계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규범 및 기준

* 직업윤리의 구성

-. 직장 생활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 지켜야 할 윤리적 규범들

-. 공동 행동의 규칙으로 이루어진 규범들

-. 하지 말아야 하는 해약 행위, 비윤리적인 행동들을 제약하는 규범들

 

구분 내용
근로윤리 근면성 직장생활에 있어 부지런하고 꾸준한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가?
정직성 직장생활에 있어 속이거나 숨김이 없이 참되고 바르게 행동하는가?
성실성 맡은 업무에 있어서 자신의 정성을 다하여 처리하는가?
공동체 윤리 봉사정신 자신의 이해를 먼저 생각하기보다 국가, 기업, 남을 위하여 애써 일하는 자세를 가졌는가?
책임의식 주엊니 업무 또는 맡은 업무는 어떠한 일이 있어도 하는 자세를 가졌는가?
준법성 직장에서 정해진 규칙이나 규범 등을 지키고 따르는가?
직장예절 직장생활과 대인관계에서 절차에 맞는 공손하고 삼가는 말씨와 몸가짐을 가졌는가?

(2) 직업윤리의 중요성

 

직업윤리 필요성 : 책임, 의무, 협력 위해 

직업윤리 중요한 이유: 직업활동은 기업과 사회 전체의 질서와 발전 영향 

윤리 : 신뢰성 보장, 경쟁력 요소 

 

직업윤리 필요성: 개인 위해, 기업의 신뢰도와 사회의 질서와 발전,  직업 자체의 발전 위해 

[직업윤리 수준 체크리스트] 

문항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인 편이다 그런편이다.
1 나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지켜야 할 도리를 지킨다.      
2 나는 시대와 사회상황이 요구하는 윤리규범을 알고 적절히 대처한다.      
3 나는 직업은 나의 삶에 있어서 큰 의미가 있다고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4 나는 업무를 수행하는 중에서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직업인으로서 지켜야 할 역할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5 나는 내가 세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규칙적이고 부지런한 생활을 유지한다.      
6 나는 직장생활에서 정해진 시간을 준수하며 생활한다.       
7 나는 이익이 되는 일보다는 옳고 유익한 일을 하려고 한다.       
8 나는 일을 하는데 있어 이익이 되더라도 윤리규범에 어긋나는 일은 지적하는 편이다.       
9 나는 조직 내에서 속이거나 숨김없이 참되고 바르게 행동하려 노력한다.       
10 나는 지킬 수 있는 약속만을 말하고 메모하여 지키려고 노력한다.       
11 나는 내가 맡은 일을 존중하고 자부심이 있으며 정성을 다하여 처리한다.       
12 나는 건전한 직장생활을 위해 검소한 생활 자세를 유지하고 심신을 단련하는 편이다.       
13 나는 내 업무보다 다른 사람의 업무가 중요할 때 다른 사람의 업무도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편이다.       
14 나는 평소에 나 자신의 이익도 중요하지만 국가, 사회, 기업의 이익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15 내가 속한 조직에 힘들고 어려운 일이 있으면 지시받기 전에 자율적으로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편이다.       
16 내가 속한 조직에 주어진 업무는 제한된 시간까지 처리하려고 하는 편이다.       
17 나는 속한 조직에서 책임과 역할을 다하며,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한다.       
18 나는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조직의 규칙과 규범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는 편이다.       
19 나는 조직생활에 있어서 공과 사를 구별하고 단정한 몸가짐을 하는 편이다.       
20 나는 질책보다는 칭찬이나 격려 등의 긍정적인 언행을 더욱 하는 편이다.       

[답안 체크리스트]

문항 수준 개수 구분
1~4번 그렇지 않은 편이다.   직업윤리
보통인 편이다.  
그런 편이다.  
5~12번 그렇지 않은 편이다.   근로윤리
보통인 편이다.  
그런 편이다.  
13~20번 그렇지 않은 편이다.   공동체윤리
보통인 편이다.  
그런 편이다.  

 

나) IT 비즈니스 직업윤리

(1) IT 비즈니스 종사자의 직업윤리

공공의 안전과 개발자로서 기술 구현에 대해 가져야 하는 도덕적 책임감, 프라이버시 보호와 정보보호 의식

 

(2)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위한 직업윤리

피트 구들리프

<윤리적 프로그래머로서 해를 끼치지 않을 것에 대한 맹세>

항목 맹세
1 개인적 이득, 직업상의 이득을 위해 코드나 비즈니스에 해를 끼치지 않겠다
2 최선을 다해 할당 업무를 충실히 수행, 팀내 적절히 조화이루겠다
3 타인을 진실히 대하고, 프로젝트와 팀을 효율적, 가치있게 만드는 방향으로 일하겠다

[프로그래머로서 윤리성을 갖추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항목 프로그래머 윤리성 질문
1 윤리적 프로그래머와 윤리적 사람 차이?
2 거래의 관행 합법여부
3 GPL코드 공개 보류
4 다른 프로그래머 비윤리적 행동알때 어떻게 해야하나?
5 특허는 윤리 프로그래밍에 부합?
6 개발열정은 윤리적 문제에 영향? 

 

2. IT 비즈니스 관련 윤리 원칙 및 강령

가) ICT 기술 관련 윤리강령

(1) ACM(미국 컴퓨터학회)의 윤리강령

일반원칙(7), 전문가 책임(9), 전문 리더십원칙(7), 강령준수(2),

사회적 채임감, 전문리더십 강조

 

[1조 일반 윤리 원칙]

항목 윤리원칙
1 사회, 인류복지에 기여
2 피해를 피한다. 되돌리기 복구시키기, 리스크 알리기
3 정직, 신뢰감
4 공정, 비차별
5 아이디어, 발명품, 창작물, 컴퓨팅 산물 생산 존중, 저작권, 영업기밀, 특허권, 라이선스, 직무발명, 오픈소스
6 프라이버시 존중
7 기밀유지

2조 전문가 책임(9),

항목 전문가 책임
1 높은 품질 달성 노력
2 전문 역량, 행동, 윤리적 실천 관여 높은 기준 유지
3 전문적인 업무 관련 규정 존중
4 적합한 전문 견해 제공
5 위험분석 포함, 컴퓨터 시스템, 영향력에 대해 포괄적 철저한 평가 제공
6 전문역량 발휘분야에서 일함
7 컴퓨터 관련 기술, 결과에 대해 대중의 인식 이해 증진
8 컴퓨터, 통신자원 허가시나 공익시만 접근
9 안전 시스템 설계 구현,

 

 

3조, 전문 리더십원칙(7),

항목 전문 리더십원칙
1 공익을 핵심가치로 둔다
2 사회적 책임 알리고 이행여부 평가
3 삶의 수준 향상위해 인력, 자원 관리
4 윤리강령 원칙 정책, 절차 적용 지원
5 조직, 그룹 구성원이 전문가 성장 기회 제공
6 시스템 수정 폐기시 주의
7 통합 시스템 특별 주의

4조 강령준수(2),

항목 강령준수
1 강령에 나온 원칙 지지, 증진, 존중
2 윤리강령 위반, acm 회원 부적합

(2) NSPE(미국기술사협회)의 엔지니어 윤리강령(Code of Ethics for Engineering)

[인지니어 직무상 의무 수행 기본규범]

항목 내용
1 대중의 건강, 안전, 복지를 중시
2 자신이 할 수 있는 영역 서비스 제공
3 객관적, 신뢰성 있는 공적 발언
4 고용주나 고객에 대한 믿을 만한 대리인, 수탁자로 행동
5 기만적인 행위 금지

(3) ACM/IEEE-CS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윤리 강령(Software Engineering Code of Ethics and Professional Practice)

[8가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윤리강령]

항목 구분 내용
1 공공성 공공의 이익에 부합되도록 행동
2 고객주 및 고용주 자신의 고객 고용자의 이익 극대화 위함
3 제품 가장 노은 기준 충족
4 심사 무결성과 독립성 유지
5 관리 윤리적 접근 및 장려
6 전문성 청렴함, 평판 향상
7 동료 공정, 지지
8 자신 평생학습 참여, 윤리적 접근 및 장려

(4) 정보시스템 감사 통제협회(ISACA)의 직업윤리 강령

[전문적, 개인적 행위 직업윤리 강령]

항목 내용
1 표준, 절차, 통제 기능의 구현 지원, 준수 촉진
2 객관적, 성실, 전문가적 주의로 임무 수행
3 높은 수준 행위, 품격 유지, 신뢰 유지, 합법적 방법 업무 수행
4 정보의 프라이버시 기밀 유지
5 경쟁력 유지, 기술, 지식, 능력 사용, 합리적 활동 수행
6 수행작업의 결과를 적절한 대상에게 통보하기
7 이해관계자의 전문가 교육 지원

(5) 대한전기학회(KIEE)의 직업윤리 강령

항목 내용
1. 사회적 책임 사회, 세계평화 이바자. 공공안전 안녕 부합한 의사결정, 책임
2. 신의의 원칙 사업, 직업상 취득 정보, 비밀유지, 단체나 고용주에게 신의 지킴
3. 이해상충에 대한 대처 이해 관계 공개 및 객관적 처리
4. 정직한 자료 사용 정직, 성실 결론 도출, 주장 제시, 허휘자료, 표절 금지
5. 법령 준수 업무관련 법령, 규약, 계약, 표준, 준수, 뇌물거부
6. 지식재산권 존중 저작권, 특허권 등 타인의 지식재산권 존중, 타인의 업적 공정히 밝힘
7. 공정성의 원칙 공정평가 수용, 잘못 굄, 타인의 기술적 성과 공정 평가
8. 공평성의 원칙 성별, 인종, 나이, 지역, 교육 배경, 신체,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 차별 거부
9. 전문분야 발전에 기여 직업적인 지식, 기술, 전문성 개발, 전문분야 발전 기여
10. 친환경 기술 및 지속가능 기술을 확산하는 노력 지구 생산력 보존, 회복 위해 노력

1. 최신 웹 및 모바일 서비스

 1) 최신 웹 기술

   (1) HTML5

     -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동영상, 음성, 2차원 그래픽처리 등의 리치 웹 응용 구현할 수 있는 차세대 표준 HTML

   (2) 반응형웹/적응형웹

     - 반응형웹 : 환경에 적합하도록 자동으로 사이즈 변환되어 사용자가 보기 용이하게 만든 웹

     - 적응형웹 : 해당 디바이스를 체크하여 기 개발된 최적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시

   (3) 시멘틱웹

     - 구조화된 데이터를 정의하고 구축(Ontology)하고 구축된 데이터 간의 연결(Link Data)을 통해서 지능적 자료처리와 지식의 축적 활용이 가능한 웹

   (4) SNS

   (5) Open API

    - 개발자 혹은 사용자들에게 접근 권한을 제공하여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

    - REST API : 대상자원의 명시를 위해 HTTP URI 사용, 해당 자원에 대한 행위의 지정 HTTP Method 활용(POST, GET, DELETE, PUT)

  2) 모바일 서비스

   (1) 위치기반 서비스(LBS)

   (2) 모바일 커머스

     -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제품이나 서비스, 정보 등을 거래하는 모바일 비즈니스

   (3) MEAP(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

     - 단말환경의 다양성에 대응하고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공유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플랫폼

 

구분 구성요소 내용
개발환경 통합개발환경 프로젝트 구성, 코딩, 테스팅을 위한 시뮬레이터
Mobile Framework One Source Multi use를 위한 메타 계층 제공
실행환경 배포관리 모바일 앱의 배포 및 버전관리
실행 프레임워크 플랫폼 및 단말에 독립적인 코드에 대한 실행기능, Device API, wrapper 제공
백엔드 통합 인터페이스 기존 어플리케이션과 표준 인터페이스 및 재사용
운영환경 MDM 단말기 관리, 어플리케이션 관리, 보안관리, 접근제어, 분실관리
서비스 운영 및 관리 통합 인터페이스 모니터링 및 관리

2. 스마트 비즈니스 인프라

 1) 융합 인프라

   (1) 사물지능통신(M2M)

    - 기계와 연동되는 네트워크, 플랫폼 및 정보를 결합하여 사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황을 제어하며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2) 사물인터넷(IoT)

    - 사물과 사물, 사람, 공간 등의 모든 것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모든 것들에 대한 정보가 생성, 수집되고 공유, 활용되는 환경

    (3) 클라우드컴퓨팅

    - 네트워크, 서버, 스토리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 IT자원을 소유하지 않고 필요시 인터넷 서비스 형태로 이용하는 컴퓨팅 방식

    - 특징 : 온디멘드, 확장성, 광범위 네트워크 액서스, 리소스 풀링, 측정되는 서비스

    (4)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SaaS, PaaS, IaaS

   - 클라우드 서비스 배치방식 : 퍼블릭, 프라이빗, 하이브리드

    (5) 가상화

     - 물리적인 컴퓨터 리소스의 특징을 다른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최종 사용자들이 리소스와 상호작용 하는 방식으로부터 감추는 기술

     - 종류 :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데스크톱 가상화, 서버 가상화, 네트워크 가상화, 스토리지 가상화 

     - 기능 : 공유, 단일화, 에뮬레이션, 절연

    (6) 블록체인

     - 분산 네트워크 기반의 탈중앙화 개념으로 P2P방식으로 데이터를 블록으로 정의하여 분산네트워크 상에서 저장하여 체인을 구성하는 분산 원장 네트워크 기술

     - 특징 : 탈중앙화, 보안성 향상, 거래내역 투명성, 안정성 향상, 경제성 향상, 개인정보보호

 

 2) 스마트 인프라

  (1) 스마트 시티

   - 도시에 ICT,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접목하여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도시모델

  (2) 스마트 그리드

   - 기존 전력망에 IT 기술을 결합하여 실시간으로 전력 수급 상황을 관찰 및 통제하여 전력 생산 및 소비를 최적화하는 차세대 전력시스템

  (3) 마이크로 그리드

   - 지역적으로 건설된 전력망으로 전기사용자와 풍력, 태양력 등의 분산 에너지 자원들을 연결

  (4) 스마트 워터 그리드

   - ICT 기술을 도입하여 물의 생산과 수송, 사용한 물의 처리 및 재이용 등 전 분야에서 정보화와 지능화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

  (5) 스마트 교통

   - 차량과 차량, 차량과 교통관제 서비스 등 교통 관련 주체들의 정보교환을 통해 교통 안전을 향상시키고 교통 흐름의 효율향상과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지능형 교통서비스

   - 종류 : V2V, V2I, V2N, 커넥티드카 서비스

  (6) 스마트 교육

  (7) 스마트 교실

  (8) 스마트 헬스케어

 

3. IT 비즈니스 최신 서비스

01.학습내용 요약

IT 비즈니스 성과평가는 크게 재무적 성과평가와 비재무적 성과평가로 나누어질 수 있다. 재무적 성과평가는 재무적 이익을 분석하는 것으로서 재무적 투자에 대한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기법이다. 또한 균형 성과평가는 재무적 평가가 놓칠 수 있는 정성적 요소를 보완하여 비재무적 관점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목표 달성도를 측정하는 지표인 핵심성과지표(KPI)를 설정하고 기업 구성원의 개인 능력개발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는 목표관리체계(MBO)를 활용하여 IT 비즈니스 성과평가에 대한 명확한 지표를 개발 할 수 있다.

 

02.재무적 성과평가 기법

가) 재무적 성과평가의 개요

- 재무적 성과평가는 전통적인 성과평가지표이며 재무지표를 중심으로 평가한다. 제품이나 서비스를 정량적 단위로 평가하는 정량적 성과평가라고도 한다.

- 모든 경영상태를 한눈에 이해하기 편리하다.

- 재무지표는 결과지향적인 성격이 강하므로 조직구성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효과가 미흡할 수 있다.

- 재무지표는 추상적인 회계수치이므로 기업의 모든 조직원에게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나) 재무적 성과평가 기법의 종유

기법 설명
ROI -투자수익률, Return On Investment
-총 비용 대비 순 효과의 비율
-투자 타당성 평가에 활용
-투자에 따른 순이익에 소요되는 시간을 알 수 없음
NPV -순 현재가치, Net Present Value
-화폐의 할인율을 고려하여 현재 화폐가치로 나타낸 비용과 효과 사이의 관계를 표현
-정확한 미래 순이익 규모 및 시간에 따른 화폐가치를 반영
-회수 기간에 따른 리스크는 별도로 고려해야 함
IRR -내부수익률, Internet Return Rate
-현금흐름에 대비하여 투자에 따른 발생 수익
-리스크 감소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연 단위의 기대 수익 규모를 표현
-투자의 규모와 투자금액 회수 기간은 고려하지 않음
PP -회수기간, Payback Period
-누적 효과가 누적 비용을 초과하여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흑자전환 시점 또는 가시적 성공전환 시점 표현
-수익의 규모가 아닌 수익발생시점만을 보여줌

 

03.균형 성과평가 기법

가) BSC의 개요

-BSC는 재무적 성과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성과영역까지 평가함으로써 균형적인 성과를 관리하는 기법

-전통적인 성과 관리체계가 재무적 지표에 한정되어 조직의 전략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비재무적 평가도 함께 고려할 필요성이 대두됨

-지표 간의 균형성과 전략의 구체화 및 연계성 그리고 조직 내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서 BSC를 활용한다.

BSC특성

구분 설명
지표 간의 균형성 -재무관점 외의 다양한 관점별 접근이 가능
-단기와 장기에 대한 균형적 시각 제공
-선행지표와 후행지표 간의 균형 제공
전략적 구체화 -KPI를 통한 전략의 구체성 확보
-부분 최적화가 아닌 전사 최적화를 도모
전략의 연계성 -올바른 방향과 실현가능성을 갖춘 전략 연계
-전략 간 인과관계를 반영하고 집중과 선택을 통한 핵심전략 연계
조직 내 의사소통 도구 -구체적인 KPI를 이용하여 조직 내 실행력 확보
-수직적/수평적 조직의 공통된 언어로 작용

 

나) BSC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관점 -Perspective
-재무, 고객,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관점
CSF -Critical Success Factor
-비전과 전략의 성공적인 달성을 위해 꼭 성공시켜야 하는 요소
전략맵 -Strategy Map
-BSC상의 CSF들 간의 인간관계를 나타내주는 그림으로 조직이 가치를 창출하는 방법을 표현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CSF의 수준과 성공여부를 측정 및 관리하는 방법을 표현한 지표

 

다) BSC의 4가지 관점

- 재무적 관점과 비재무적 관점을 동시에 관리

BSC 4가지 관점의 상세설명

관점 주요항목 주요지표
재무적 관점 -매출액, 순이익, 원가절감
-재무적인 평가
-현금흐름, 재고 및 채권
-영업 이익률
고객 관점 -고객의 충성도 제고
-고객 만족도 향상
-고객만족도, 적시 공급률
내부프로세스 관점 -프로세스 최적화
-프로세스 병목현상 제거
-프로세스 Cycle Time
-제품 단위별 원가
학습과 성장 관점 -구성원의 학습 노력도
-역량증진에 대한 성과측정
-직원 만족도
-신제품 개발 건수

 

04.IT분야 균형 성과평가 기법

가) IT-BSC의 개요

- IT분야의 투자성과평가에 BSC의 개념을 도입하여 IT가 기업의 전략적 목표달성에 기여하도록 하는 성과관리도구

 

나) IT-BSC의 구성요소

-IT BSC는 4가지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기업의 BSC와 연계되어 있다. 즉, 지표간 인과관계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과가 상호 공유되는 구조이다. IT-BSC와 BSC는 재무적 지표와도 최종 연결됨에 따라 경영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IT분야의 성과평가에서 균형잡힌 시각을 제공한다.

IT-BSC의 관점별 BSC연계 구조

관점 측정대상 BSC연계
기업에의 공헌도 -IT 투자로부터 기업의 가치를 창출 재무적 관점
사용자 관점 -IT 서비스 공급자 및 사용자의 가치를 극대화 고객 관점
운영프로세스 관점 -IT 제품 및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 내부프로세스 관점
미래지향적 관점 -지속적 발전을 위한 IT서비스 제공 및 기술개발 지원 학습과 성장 관점

 

05.핵심 성과지표 관리

가) KPI의 개요

- 조직의 핵심 성공요소인 CSF(Critical Success Factor)를 반영하여 정량화한 지표

 

나) KPI 수립 절차

단계 주요활동 산출물
KPI 영역 정의 -조직전반 또는 운영단위의 성격규명
-참여자 선정
-KPI 수립 계획서
-조직도
자료의 수집 -중요 서류의 수집 , 검토
-인터뷰 질문 개발
-인터뷰 계획 수립 및 실시
-인터뷰 질문서
-KPI 포트폴리오
분석 -활동 설명문 작성
-연관도(Affinity) 분석
-주제개발
-업무-KPI 연관분석도
KPI 도출 -KPI 도출
-KPI 정제 및 분류, 통합
-KPI 목록
KPI 검증 -비교 기준 설정
-비교 매트릭스 개발
-연관 관계 비교
-타켓(Target) 설정
-KPI 검증 매트릭스

 

다) KPI 도출 시 유의사항

1) KPI는 기업 경영진의 전략적 지원이 필요

-KPI는 기존 프로세스와는 별도로 조직 전체의 극단인 성과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프로세스화하여야 하며 중간관리자로 구성된 Task Force에 위임하지 말고 경영진의 전략적 비전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적극적 참여가 필요하다.

 

2) 참조모델은 활용하되 모방금지

-우수한 다른 기업의 KPI라고 하더라도 기업마다 목표와 전략이 다르므로 해당 기업의 전략에 부합하는 KPI를 생성하여야 한다.

 

3) KPI의 도출은 지속적인 개선의 과정

-균형 잡힌 KPI를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성숙된 KPI로 발전할 수 있도록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업 환경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수정 가능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06.목표관리 체계

가) MBO의 주요관점

-MBO(Management By Objective)는 목표관리 체계를 말한다. MBO는 개인의 직무성과와 능력향상을 위하여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과정을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한 경영관리 기법이다.

-MBO는 기업의 구성원이 스스로의 결정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측정이 가능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한다.

-MBO는 Botton-UP 방식으로 달성목표를 설정하기 때문에, 구성원이 설정한 목표가 기업의 목표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으나 목표 설정 시 상급자와 협의를 거치기 때문에 개개인의 목표 달성이 기업의 목표 달성에 충분한 영향을 준다.

 

나) MBO를 기업에서 도입하는 이유

이유 설명
목표연계 기업의 전체목표와 개별목표를 체계적으로 연계시켜 개인과 기업의 업무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
동기부여 기업 구성원들이 자발적이고 창의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기업 목표달성에 대한 동기가 부여됨
조직통합 개개인이 능력을 개발하고 직무성과를 향상함으로써 기업 구성원이 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

다) MBO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목표의 설정
(Setting of Objectives)
-Setting of Objectives
-측정 가능하고 구체적이며 달성 가능해야 함
-매년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방향으로 수립하여야 함
-조직의 목표와 능력범위 내에서 설정하여야 함
참여
(Participation)
-Participation
-목표설정과 수행과정에서 구성원 간에 상호작용이 있어야 함
-특히 상급자(관리자)와 협의과정을 거쳐야 함
피드백
(Feedback)
-Feedback
-목표와 평가가 상호 연계될 수 있어야 함
-개인의 직무수행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하는 평가기간 전 과정을 거쳐 이루어져야 함

01. 학습내용 요약

  • IT 비즈니스 서비스는 업무 지원하는 기간계 시스템과 의사 결정 시스템 그리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ITSM으로 구성

02. IT 비즈니스 범용 업무지원시스템

가) 엔터프라이즈 솔루션(Enterprise Solution)

  •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이란 기업에서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관리 활동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
  • 주요 역할
    • 비즈니스 운영의 최적화
    • 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
    • 품질개선
    • 고객/공급사 관계 강화
    • 의사결정의 질 개선
    • 경쟁우위 확보
    • Time to Market 단축

 

나)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의 종류

  • 기업의 목적과 용도에 맞게 이용되고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 존재

 

다) 비즈니스 전략과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은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제품 관리, 프로세스 통합 측면에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기업이 비즈니스 전략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목표 달성을 이룰 수 있도록 통합적으로 관리

 

라) ERP의 이해

  • 기업의 다양한 경영자원을 하나의 체계로 통합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 시스템
  • 특징 : 통합성, 유연성, 개방성, 국제성
  • 구성 : 구매, 생산, 물류, 마케팅, 판매, 서비스, 재무, 회계, 인사 대부분의 구성 연계 가능

  • 구축절차
절차 내용
프로젝트 착수 프로젝트 계획서 작성, 품질보증 계획서 작성
분석 현행(AS-IS) 프로세스 분석, 미래(TO-BE) 프로세스 분석
차이(GAP) 분석: 현행 업무 프로세스와 내재된 패키지 프로세스 차이분석, GAP 대응방안
패키지 교육: 모듈 교육, 제공언어 교육 
매핑: 프로세스 설정, Function 설정, 마스터 데이터 설정
인터페이스 정의, 프로토타이핑 실시
설계 추가 개발 설계, 데이터 코드 설계, 테스트 계획 수립, 인터페이스 설계, 구현
개발 부재 기능 개발, 단위테스트 실시, ERP 기존모듈과 추가개발 모듈과의 연계 테스트, 외부 인터페이스, 통합테스트
구현 데이터 컨버전, 시스템 사용교육, 시범운영
  • 구축 전략
전략 개념 장점 단점
Big Bang 방식 ERP에서 제공하는 모든 모듈과 기능을 기업 전체에 다발적으로 도입하는 방식 패키지 자체의 통합성 
구현이 용이함
프로젝트Scope이 크므로 프로젝트 관리가 다소 어려움
기능별, 단계별 접근방식 ERP 모듈을 기능별, 단계적으로 구축하는 방식 적용 사업장의 변화에 
대한 저항감이 적음
기존 운영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추가 프로그램 필요
사업장 별 단계적 접근방식 ERP 모듈을 사업장 별, 단계적으로 구축하는 방식 1단계 투입인력의
2단계 활용으로 인한 
인력 활용도 제고
프로젝트 기간이 길어지고, 중복업무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음

 

마) SCM의 이해

  • 유통에 이르는 전체 프로세스에 걸쳐 협력업체와 정보 공유, 협업 최적화를 추구하는 경영기법
  • SCM 기능 : 공급망 계획, 공급망 실행, 공급망 가시화
  • 세부활동
구분 활동 설명
공급망 계획
(Supply Chain Planning)
제조계획
  • 고객에게 공급될 상품 또는 서비스의 내역에 대해서 제조에 관련된 모든 일정을 세부적으로 관리 및 조정
수요계획
  • 여러 종류의 예측(Forecasting) 기법을 이용하여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분석을 통하여 계획 수립
유통계획
  • 일정 관리 부분, 운송 계획 부분, 수요 계획 부분과 통합하여 물류상의 운영계획 수립(물류운영)
운송계획
  • 최소 비용으로 원재료가 공장에 배달되고 완성된 제품 또는 서비스가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 될 수 있도록 자원에 대한 배분 계획 수립
공급망 실행
(Supply Chain Execution)
주문관리
  • 주문 접수, 확인, 주문 처리
생산관리
  • 제품 및 서비스의 생산 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관리
유통관리
  • 완성된 제품 또는 서비스가 고객에게 전달 될 수 있도록 관리
역물류 관리
  • 제품에 하자가 생길 경우 제품이 보상판매가 될 경우 등 고객으로부터 상품을 반입 받는 관리

 

바) CRM의 이해

  • 고객들의 성향과 요구사항을 미리 파악하여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경영전략
  • 고객 지식이 확대되고 기대 수준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경영전략의 필요성 증대
  • CRM 분류
    • 운영 CRM : 고객 접점에서 고객관리 지원
    • 분석 CRM :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케팅 분석
    • 협업 CRM : 고객과의 접촉 채널 지원

 

사) PLM 의 이해

  • 설계도 부터 최종 생산에 이르는 전체 과정을 일관적으로 관리해 가치를 높이는 프로세스
  • 구성요소
구분 설명 관련모듈
프로젝트관리 일정관리, 산출물관리, TASK 관리 기술문서/도면관리
기술문서관리 기술문서 등록/수정, Revision 관리, 문서 및 관련 정보 연계, 결재 설계변경관리
도면관리 도면승인/정보관리, 도면 Revision 관리, 도면 Viewer 제공 부품정보/설계변경관리
설계변경관리 ECR/ECN 프로세스관리, 변경 유형별 관리, 부품 Revision 관리 기술문서/도면/부품정보
BOM관리 CAD 연계, BOM Revision 관리, EBOM/MBOM 생성/승인 CAD, 부품/제품정보
제품정보관리 Model/Product/FG Code 관리, 제품사양관리, 산출물관리 CAD, 부품/도면/BOM
협업관리 협력업체와 개발 정보 공유, 업무 연계 CAD 시스템
보안관리 문서/도면 암호화, 보안설정, DRM/DLP 전체시스템
인터페이스관리 CAD, ERP, MES 연계 유관시스템 연계

 

03. IT 비즈니스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가) EDW의 이해

  • 기업 내외부 데이터를 통합하여 사용자의 정보 분석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시스템
  • 특징 : 주제 지향적, 통합성, 시계열성(날짜, 월 같은 시점 요소 반영), 비휘발성

나) DSS의 이해

  • 관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의사결정과정에서 기업전문가에게 상호 대화식 제공
  • 특징 : 비구조적 문제 해결, 사용자 인터페이스, 의사결정의 효과성 제고, 모델과 DB 지원
  • 구성요소 : DB 관리시스템, 모델베이스 관리시스템, 지식베이스 관리시스템, UI 관리시스템

 

다) BI의 이해

  • 기업의 데이터와 정보를 요약, 분석, 활용하여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프로세스
  • 구성 : 온라인 처리시스템의 일관성을 위해 Extraction, Transformation, Load 기능 제공
  • 유형
 구분 전략적 BI  전술적 BI  운영적 BI 
 주요
비즈니스 초점
장기적 기업의 목표와 목적을 달성함 기업 목표 달성에 관한 정보와 보고서 산출 일상적 운영을 관리함
 주요 사용자 최고경영자분석가 최고경영자, 분석가, 비즈니스 관리자 일선 비즈니스 관리자, 운영자
 측정치 어떻게 전략이 진행되고, 계획에 어떤 수정이 필요한가 추적/이해/ 피드백 어떻게 전략이 진행되고, 획에 어떤 수정이 필요한가 추적/이해/ 피드백 관리자가 자신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성과에 대한 통찰을 확보하도록 개인
 기간  월간, 분기별, 연간  일간, 주간, 월간  즉시, 하루 중
 데이터 유형  역사적, 예측적  역사적, 예측적 모델링  실시간 혹은 근사 실시간

 

04. IT 서비스관리의 이해

가) IT 서비스관리의 개요

  • IT Service Management로 ITSM으로도 불리며 품질을 보증하는 수단
  • IT서비스의 표준모델인 ITIL(IT Infrastructure Library)를 활용

나) ITIL의 이해

  • IT 관리에 대한 지침서로 서비스 관리 모범사례를 모아놓은 프레임워크
  • ITIL의 버전
버전 v2.0 v3.0 v4.0
개정연도 2000 2011 2019
특징 -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지원 영역으로 ITSM을 분류
- 서비스 생명주기 도입
- 프로세스 연결성 보완, 지속적 개선 강조
- 서비스 가치체계 도입
- 프랙티스 중심 IT 관리
- 클라우드 환경 운영절차 강화
한계 - 서비스 생명주기 관리 불가
- 프로세스간 연계 부재
- IT 서비스 성숙도 관리 미흡
- 클라우드 개발/운영 환경 수용 한계  
  • ITIL 4.0 프레임워크

구분 설명
4-Dimensions model - 서비스 관리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 방식을 보장, 서비스 가치 시스템과 특정 서비스에 적용
- Organizations and people(조직과 사람)
- Information and technology(정보기술)
- Partners and suppliers(파트너 및 공급업체)
- Value streams and processes(가치 흐름과 프로세스)
Service value system(SVC) - 조직의 모든 구성요소와 활동이 가치 창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서로 협력하는 방식
- Guiding principles(가이드 원칙)
- Governance(거버넌스)
- Service value chain(서비스 가치 사슬)
- Contiual improvement(지속적인 개선)
- Practices(사례들)

 

다) SLA의 이해

  • IT 공급기업과 고객간에 적정 수준에 대하여 성능, 가격등에 대한 협약
  • 서비스 제공자가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할 서비스에 대한 수준을 정의한 것으로, 그 수준에 대한 상호 간의 책임과 의무를 기술한 거래 수단
  • 필요성 
    • 고객과 서비스 제공자간 기대치와 정보자원의 인식차이 발생
    • 분쟁 가능성을 방지하고자 서비스 품질수준을 정량화
  • 역할
    • 서비스 제공시 고객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도구
    • 서비스 수준의 계량화로 객관적 효과 측정 도구
    • IT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와 제공자간의 기대차이에 대한 분쟁방지
  •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KPI 사례
기본계약서
  • 계약전반에 관한 정의(목적,기간, 비용 등)
ITO 계약서
서비스 카탈로그
  • 서비스내역/특성 기술
서비스명칭/목표/담당자/제공시간/보안사항
업무기술서
(SOW)
  • Statement of Work
  • 서비스별 상세항목을 기술한 업무 기술서
서비스 대상, 항목 등
서비스수준관리지표
(SLM)
  • Service Level Metrics
  • 서비스 제공 영역별 서비스 수준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성과지표
시스템가동율
최대:99.9%, 최소: 98%
서비스목표수준
(SLO)
  • Service Level Objectives
  • 서비스 수준 관리지표별 목표치, 최소치
가용성 유지: 99%
서비스성과
측정기준 (Measurement)
  • 관리지표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측정주기, 방법
(총가동시간/예정시간)
서비스 수준보고
(Service Level Reports)
  • 서비스수준에 대한 의사소통체계 보고형식 및 방법
  • 서비스 모니터링, 개선방안 수립/전개 등
주간/월간보고,
개선계획서 등
보상체계
  • 목표치 준수, 미 준수시의 보상 및 범칙금 산정
  • 기준, 방법
Penalty, Incentive
구분 구성요소 설명
항목 도출 기본 계약서 계약서, 제안서, 협상결과 등을 통한 항목 도출
서비스 카탈로그 서비스 전체 내역으로부터 항목 도출
SOW 프로젝트의 결과로 제공할 제품이나 서비스를 상세히 기술한 문서
측정 수행 서비스 수준 지표 서비스 수준 측정을 위한 기준 지표 정의
서비스 목표 수준 기준 지표에 대한 최소, 기대 수준의 목표 정의
서비스 성과 측정 지정된 주기에 따라 지표 항목의 측정
평가 서비스 수준 보고 측정된 결과에 대한 보고 문서 제출
보상 체계 결과에 따른 인센티브 또는 패널티 부여

 

라) SLM(Service Level Management)

  • SLA에서 정의한 서비스에 대해 정확히 성과를 측정/평가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더 나은 서비스가 이루어 지도록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일련의 과정
  • 효과적인 비즈니스 지원을 위해 서비스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실적을 평가하여 미흡한 부분을 개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서비스의 품질을 보장하는 활동

  •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Service Catalog
  • 고객에게 제공되는 모든 IT서비스와 각 서비스에 대한 특징, 상세 고객정보/지원주체를 정의
  • 이러한 서비스 카탈로그는 타 IT프로세스, BIA(Business Impact Analysis), 용량 관리 프로세스에서 이용가능
SLA
  • Service Level Agreement
  •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와 사용하는 업체간의 서비스 계약서
OLA
  • Operational Level Agreement(운영수준협약)
  • IT 내부부서와 SLM프로세스간의 서비스 수준계약으로 고객과의 SLA를 위한 하위계약문서
Service Quality Plan
  • 합의된 서비스 수준의 보장을 위해 필요한 모든 내용을 기술한 내부 계획
Service Report
  • 주기적으로 서비스수준 위반여부 검토
SLM엔진
  • 서비스 수준 관리 과정에서 서비스 수준관리 지표별 측정치산출
  • 보고서 작성 자동화 기능, 실시간 정보서비스모니터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