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범위관리 개념과 프로세스
가. 범위관리 개념
- '프로젝트를 통해 제공되는 제품과 서비스의 합' 으로서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완료하기 위해 요구되는 업무의 범위 또는 업무 자체를 의미한다. 범위 = 프로젝트 범위 + 제품 범위
- 프로젝트 범위의 완료는 프로젝트 계획을 기준으로 측정되며, 제품 범위의 완료는 제품 요구사항을 기준으로 측정된다,
나. 범위관리 프로세스
1.범위관리 계획 | 개념 | 프로젝트 범위관리는 최종 산출물인 제품, 서비스를 고객에게 인도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범위를 정의하고, 확인하고, 통제하기 위한 프로젝트 범위관리 계획서를 개발하기 위한 프로세스 |
범위관리계획서 | 프로젝트 단계별로 진행하는 프로세스와 각 프로세스의 구현 수준을 정의한 것 (주요항목) - 프로젝트 범위 기술 절차 - 작업분류체계(WBS) 작성 방법 - 고객에게 전달할 인도물에 대한 검증 및 확인 기준 - 범위 변경 요청 형식 및 절차 등에 대한 설명 |
|
2.요구사항 수집 | 개념 | 고객이 무엇WHAT) 이 , 왜(WHY) 필요한지를 파악하는 과정 |
3.범위 정의 | 개념 | 프로젝트와 제품에 대한 상세한 범위 기술서(scope statement)를 작성 프로세스로 프로젝트 산출물과 인수기준을 명시하고 프로젝트 제외사항, 제약사항, 가정사항등의 특성을 포함하는 활동 (프로젝트 범위와 외부와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는 활동) |
범위 정의 요구 조건 | 1.명확성(clear scope) : 보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2.완전성(complete scope) : 누락되거나 지나치거나 겹치는 부분이 없어야 한다 3.합의성(agreed-upon scope) : 실행되기전에 이해관계자간 의견 수렴 합의 도출 4.관리용이성(manageable scope) - 기간과 비용을 정확히 추정할 수 있어야 한다 - 담당자를 명확히 지정할 수 있어야 한다 - 성과를 현실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
|
4.작업분류체계(WBS) 작성 | 개념 | 프로젝트 산출물과 전체 범위를 관리 가능한 요소들로 분해하여서 작성하는 산출물 |
WBS작성 효과 | 1.업무 누락 방지 : 프로젝트 팀이 달성해야 할 작업들을 세분화하고, 수행단계별로 산출물을 정의함으로써 업무가 누락되는 것을 방지 2.업무간 연관성 파악 가능 3.이해관계자, 스폰서와 일관된 의사 소통 가능하도록 지원 |
|
5.범위 확인 | 개념 | 고객에게 인도할 산출물에 대해서 고객 혹은 프로젝트 상위 조직장에게 승인을 하는 프로세스 -프로젝트 범위에 대한 공식적인 확인을 위해서는 프로젝트 팀의 검사(inspection) 및 기술적인 검토를 통해, 제품 에러 규격, 표준에 맞지 않는 것들을 찾아내고, 확인된 결과를 산출물로 도출한다, |
Inspection | 프로젝트에서 수행되는 작업과 인도될 산출물이 요구사항과 제품 인수 기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는 성과에 대한 측정, 검수, 확인하는 활동 | |
6.범위 통제 | 개념 |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요청된 변경사항과 권고된 시정사항, 예방조치가 처리되도록 통제하는 프로세스 |
프로젝트 설계 및 분석 단계에서 범위정의를 통해 만들어진 범위기준선에 대한 변경요청은 실무에서 빈번하다. 범위 변경은 일정 및 원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해당 요청들은 프로젝트 변경 통제위원회(ccb)에 보고되고, 프로젝트 전반에 걸친 영향을 검토하고 공식적인 절차에 따라 승인되고, 처리 되어야 한다. |
02. 범위관리 기법
가. 작업분류체계 (WBS: Work Breakdown Structure)
1.WBS의 개념 | 프로젝트 산출물을 중심으로 작업을 분류하고, 관리 가능한 범위로 분할한 계층적 작업 분류표 | |
(작성사례) | ![]() -작업분류체계 각 하위 작업 항목을 작업 패키지(Work package)라고 한다. 사례의 글쓰기, 글 삭제하기, 글 수정하기, 파일 업로드에 해당 |
|
2.WBS의 구조 | wbs는 트리 구조 형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마치 부모-자식 간의 관계로 요소들을 표현하여 상하 관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용이하다.![]() |
|
3.WBS의 구성요소 | 1.작업 패키지(Work Package) : 일정을 계획하고 원가를 산정, 감시, 통제할 수 있는 단위로 분할이 완료된 시점의 최하위 단위 2.식별 번호(Code of Account) : 작업분류체계의 구성요소에서 넘버링 체계를 가지는 고유한 ID, 이를 통해 작업 패키지에 유일한 번호가 부여 됨 3.WBS (WBS Directory) 사전 : 각 작업 패키지의 상세한 내용을 기술한 것 4.RAM(Responsibility Assignment Matrix) : 각 담당자별로 각 단계별 승인자, 품질검토자, 투입물 책임자 등의 기준이 됨 |
|
4.WBS의 작성방법 | - 작업분류체계는 범위 기술서에 기술된 주요 인도물 및 작업을 식별할 수 있도록 작고, 관리 가능한 작업 패키지 수준으로 세분화하여 작성한다. <작성원칙> 1.산출물 중심 : 업무 범위를 통제하여 관리하기 위한 명확한 실체를 갖는 산출물 중심 2.단위 : 작업 성과를 통제하기 용이하게 WBS의 최하위 단위는 통상 80시간(2주) 내외기간분할 3.상세 세분화 : 프로젝트 수행인원이 보통 1~2주 안에 처리 할 수 있는 단위로 세분화 4.전후관계 정의 : 각 WBS별 선후 관계 및 연관 관계의 파악이 가능하도록 정의 |
'TOPCIT > TOPCIT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품질관리 - 이강욱 (0) | 2022.08.22 |
---|---|
4. 테크니컬 문서 작성방법 - 문경숙 (0) | 2022.08.20 |
12. 저작권과 산업재산권 보호 - 김도현 (0) | 2022.08.14 |
10. IT비즈니스 관련 직업윤리 - 문경숙 (0) | 2022.08.14 |
9. IT비즈니스 최신서비스 - 배준호 (0) | 2022.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