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전략 목차]

1. IT  아웃소싱 개요

1) IT 아웃소싱 정의

  • 기업의 Value Chain 상의 활동 중 경쟁우위가 있는 일부 활동만 내부에서 수행하고, 비전략적인 부문을 해당분야의 전문가로부터 조달하는 정보기술 위탁서비스
  • 외부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정보시스템 관리 활동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위탁하여 관리하는 것
  • 외부를 뜻하는 ‘Out’과 자원 활용을 뜻하는 ‘Sourcing’의 합성어

 

2) IT 아웃소싱의 필요성

필요성 설명
선택과 집중 경쟁 우위를 위한 핵심역량에 집중가능
전문성 확보 전문업체를 활용한 신기술확보신뢰성 및 품질확보
TCO 측면 인력보유에 대한 부담과 전체적인 비용감소
운영 측면 내부운영 및 기능의 생산성 제고

 

2. IT 아웃소싱 유형 및 추진절차 

1) IT 아웃소싱 유형

유형 항목 특징 및 설명
Total
Outsourcing
정의 - IT 기능 전체를 Single Vender에게 위탁
장점 - 업무효율성 증대책임소재의 명확성
- 친밀한 관계유지아웃소싱 비용 효과 비교적 저렴
단점 - 독점적 선택문제가격경쟁의 어려움경쟁부재에 따른 안일한 상황 대두될 수 있음
Selective
Outsourcing
정의 - 선택된 기능을 Multi Vender에게 위탁하는 서비스유형
장점 - 경쟁으로 인한 품질향상효율적인 가격 경쟁력 가능
- 경쟁으로 인한 나태함 방지
단점 - 책임소재 불명확고객의 요구 파악이 어려움
IT Subsidiary
Outsourcing
정의 - IT전문 법인(자회사)을 설립한 후에 위탁 서비스
장점 - Family의식의사소통 및 단절감 조성 및 성실한 고객응대
단점 - 관계성으로 인한 비용증가나태함
- 수익성 기반을 확장하지 못하면 공멸 위험 존재
Co-sourcing 정의 - IT기획 총괄과 수행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형태
- 코소싱사업자와 Vender가 공동 추진하는 형태
장점 - 급변하는 환경에 적합
- Total Outsourcing의 문제점 해결
- IT전반에 대한 기획 및 평가권 보유로 인하여Risk감소
단점 - 전략과 수행의GAP발생 가능한 구조
- 위화감 조성 등의 단점 존재

 

2) IT 아웃소싱의 추진절차

절차 설명 주요활동
대상업무 선정 - 정보시스템 전략 및 아웃소싱 수행 계획 수립
- 아웃소싱 대상 업무의 선정(목표 설정)
- SWOT 분석
- 경쟁환경 분석
아웃소싱업체 선정 - RFP에 의한 우선 서비스 제공자 선정
- Proposal 평가 및 가격 협상
- 공개 입찰 및 통한 서비스 업체선정
- 업체 서비스 지속성 판단
- Weighting(가산점방식 등의 평가
협상 및 계약 - 서비스 수준비용업무 분량에 따른 협상
- 협상 결과를 바탕으로 계약 진행
- ITIL 수준의 서비스 제공 능력 평가. SLA 확정
전환 및 이행 - 정보 자원의 이전 및 서비스전환
- 자산인력 등의 이전 작성 진행 후 운영
- SLA 준수여부검증
- KPI 지표운영
계약 관리 - 서비스 수준에 따른 성과 관리
- 계약기간 만료 후,계약 갱신
- 주기적인 평가 진행
- BSC, ROI 등 지표를 통한 공정한 성과 평가
계약 전환 - 제3의 서비스 제공자와 계약 또는 내부 전환(In-sourcing)

 

3. IT아웃소싱 위험요소/해결방안 및 대상선정시 고려사항

1) IT 아웃소싱 위험요소/해결방안

구분 위험요소 해결방안
통합문제
(Control)
- 서비스레벨성과 측정의 문제점
- 미래환경의 불확실성에 따른 계약의 안정성 유지고려
- 적절한 Pilot시행을 통한 검증,보완
- 계약사항 조정변경을 위한 유연성 확보
보안문제
(Security)
- 전략정보프라이버시 정보 등의 유출에 의한 피해 - 필요 보안 수준의 명확한 정의
- 관리적/운영적/기술적 보안수준 제고
고객 비즈니스 이해부족 - 고객 산업업무문화의 이해 부족으로 인한 성과 저하 및 불필요한 충돌 발생 가능성 - 유사 영역의 경험보유 벤더 선정
- 효과적 커뮤니케이션 교육지원
아웃소싱 변경문제 - 아웃소싱 대상 기능 및 서비스 벤더의 변경 혹은 아웃소싱 기능의 회수 등에 따르는 높은 교체비용
- 기회비용 발생
- 장기적 계획에 따른 아웃소싱 추진
- 핵심 기능 및 핵심 인력은In-sourcing 유지 및 혼합적용
의존성 문제 - 정보시스템 서비스에 대한 업체에게 과도한 의존으로 Procurement 유연성 확보 실패 및 업체Selection 범위 제한 - IT TrendKnowledge (기술, 벤더 아웃소싱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Follow-up
업체평가 문제 - 업체에 대한 공정한 평가 필요 - BSC, ROI에 의한 평가
- KPI등 실적에 대한 공정한 평가반영

 

2) IT 아웃소싱 대상 선정시 고려사항

관점 내 용 요구 사항
재무적 관점 - 비용절감 효과분석 명확화 필요
- 아웃소싱 대상을 향후 사업 변경 등의 목적으로 다른 형태로 변경할 경우 기회비용 고려
- ROI, TCO, KPI 등 정량적 지표 확립
기술적 관점 - 기업 합병, 비즈니스 통폐합 등 기업 IT 환경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능력 필요
- 기술 습득의 기회 제공
- 개방형, 서비스 지향형 지원 여부
- 교육, 연수의 제도화
사업적 관점 - DRS, BCP 등 사업 연속성 강화 위한 서비스
- SLA에 기반한 SLM 운영
- ITO 업체 서비스 능력 평가
- SLA 명확화

 

참고. IT 아웃소싱 추진 프레임워크

  • IT아웃소싱 추진 프레임워크 (IT아웃소싱 운영관리 매뉴얼 v2.0 ‘2011, 행정안전부, NIA)
  • IT아웃소싱 추진 프로세스는 사업계획 수립, 발주 및 계약, 서비스 이전관리, 서비스 수행관리, 계약관리 및 정산의 5개 단계별로 10개의 활동(Activity)과 34개의 작업(Task)으로 구성

프로세스 참조
사업계획 수립 프로세스 - 현황분석 및 조직 구성, 사업계획서 작성
-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의 기준 및 기관(조달청, 특허청 ) 사례를 참고
발주 계약 프로세스 - 제안요청(RFP), 사업자선정 및 계약 체결
- 행정안전부의
정보화사업 표준 프로세스(2009.10) 준용
서비스 이전관리 서비스 수행관리 프로세스 - 서비스 이전, 성과관리, 운영 및 유지보수 관리
- 국제
표준인 CMMI, ITIL V3 프로세스를 발주기관 실정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 IT아웃소싱 운영관리 매뉴얼 매뉴얼의 핵심내용
계약관리 정산 프로세스 - 계약관리, 계약전환, 결과보고 및 사업비 지급
- 정보시스템
운영 아웃소싱 관리 지침(2005.12) 참조

001 IT아웃소싱_운영관리_매뉴얼(V2.0)2011.PDF
2.93MB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경영(김지웅)  (2) 2022.09.10
IT 생산성 패러독스(이재용)  (0) 2022.09.10
ITIL(문경숙)  (0) 2022.09.10
CRM(유준수)  (0) 2022.09.10
CoE(Center of Excellence)(황선환)  (0) 2022.09.10

I. ITSM을 위한 Best Practice 모음집, ITIL 4.0의 개요

가.  ITIL 4.0 (IT Infrastructure Library) 정의

  • 비즈니스의 영속성을 위해 안정적인 서비스 지원(Service Support)과, 서비스 이행 및 제공(Service Delivery), ICT infrastructure 관리의 "Best Practice" 모음집
  • 고객이 특정 비용과 위험을 관리하지 않고도 달성하고자 하는 성과를 촉진, 가치 공동 창작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나. ITIL 4.0의 특징

  • ITIL V3 프레임워크를 유지하면서 가치 창출과 프로세스 자동화, 성과 개선을 중심으로 기존 개념을 확대
  • 전사적인 협업과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고 애자일(Agile)과 데브옵스(DevOps)를 ITIL 프레임워크에 적용

 

II. 서비스 관리의 4차원 모델(Four Dimentions model) 구성도와 구성요소

가. 서비스 관리의 4차원 모델(Four Dimentions model) 구성도

-. 4차원모델: 서비스 관리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 방식을 보장하기 위해 고려해야할 네가지 차원

 

나. 서비스 관리의 4차원 모델(Four Dimentions model)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1. 조직과 사람들 서비스 관리를 위한 고객과 이해관계자들의 관계의 중요성
2. 정보 및 기술 정보의 중요성과 가용성, 클라우스 서비스 등의 기술의 중요성 강조
3. 파트너 및 공급업체 서비스와 파트너사와 공급하는 협력업체와 가치창출
공급업체(Supply Chain)
SIAM(service Integration and management) 프레임워크 사용
4. 가치 흐름과 프로세스 조직이 제품과 서비스를 이용하여 가치 창출을 위한 프로세스 관리

 

III. 서비스 가치사슬(Service Value Chain)의 구성도와 구성요소

가. 서비스 가치사슬(Service Value Chain)의 구성도

 

-서비스 가치사슬: 조직의 모든 구성요소와 활동이 가치 창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협력하는 방식

 

나. 서비스 가치사슬(Service Value Chain)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설명
1. 지도원칙(Guiding Principles) ITIL 가치를 수행하기 위한 7대 가치 기본 원칙
2. 거버넌스(Governance) EDM 모델을 지칭함
지시(Direct)->모니터링(Monitor)->평가(Evaluate)를 통해 거버넌스 개선 적용
3. 서비스 가치사슬
(Service Value Chain)
서비스 가치 사슬(SVC)를 통하여 요구사항에 가치를 Feedback tlzla
1) 계획(Plan)
2) 약속된 업무 참여(Engage)
3) 설계와 운영전환(Design and Transition)
4) 획득/빌드(Obtain/Build)
5) 수행과 지원(Deliver and Support)
6) 개선(Improve)
4. 지속적인 개선
(Continual improvement)
ITSM 계획(initiative) 성공을 위한 지속적인 개선 적용함
5. 실행(Practices) ITIL 4 includes 34 management practices
일반관리 프랙티스, 서비스 관리 프랙티스, 기술관리 프랙티스

 

 

[경영전략 목차]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생산성 패러독스(이재용)  (0) 2022.09.10
IT 아웃소싱(이상희)  (0) 2022.09.10
CRM(유준수)  (0) 2022.09.10
CoE(Center of Excellence)(황선환)  (0) 2022.09.10
SCM 수요예측 7단계, 예측기법(홍진택)  (1) 2022.09.10

[경영전략 목차]

 

 

1. 고객생애가치(LTV, Life Time Value)를 극대화하는 마케팅 관리 기법, CRM의 개요

 가.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의 개념

  - 고객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고객이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LTV(Life Time Value: 고객생애가치)를 극대화하는 마케팅 관리 기법 

  - 고객들의 성향과 요구사항을 미리 파악하여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만들고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경영 전략 체계

 나. CRM의 필요성

항목 내용
파레토 법칙  - 20%고객이 80% 수익률 창출
시장의 변화  - 시장 개방, 경쟁 심화, 시장의 세분화, 로열티 경영 실현 필요성 
고객의 변화  - 고객의 다양성 증대, 생활방식 변화, 고객들 지식화, 고객기대수준 상승 
정보기술 변화  - 고객의 정보 분석 및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정보기술의 진보를 통한 활용 범위 확대
마케팅 패러다임 변화  - 기존의 마케팅 방식보단 변화에 부흥하는 새로운 마케팅 패러다임 변화 

2. CRM의 분류 

구분  목표  주요 기능 
운영 CRM  - 고객 접점에서 고객 관리 지원
 - 영업, 마케팅, 고객서비스 연계한 업무 지원 , 
 - 비즈니스 프로세스 통합화 및 자동화
 - 마케팅 정보 관리
 - 캠페인 시스템 다양한 채널 활용 
 - SFA: 영업 사원의 1:1마케팅 및 판매행위 지원 시스템 
분석 CRM  - 운영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로 마케팅 분석, 판매분석 지원
 - DW와 연계하여 분석 정보 제공
 - 전사적 DW, OLAP 구축
 - 데이터 마이닝, 
협업 CRM  - 고객과 접촉채널 지원 ( 접점 ) 
 - 고객과 기업, 기업내 조직간 업무 일원화 
 - 협업을 목적으로 상호 연관 서비스 지원 
 - 콜센터 
 - 모바일 서비스 
 - e-CRM, g-CRM 

3. CRM 구조 및 기술요소 

 가. CRM의 구조 

나. CRM의 기술요소 

분류 기술 설명
CRM 
보고기술
Portal  - Web 기반 ( SOA, SaaS ) 포털 사이트 구축
 - 내 외부 리스트 공개, UMS 서비스
Dash Board  - 실시간 KPI 제공, MoBile CRM 
 -이벤트 실행, SMS 의사결정/ 작업분석 지원
Bw Reportig  - 지속 가능성 있는 비즈니스 목표달성 자동화 리포팅
 - Decision Support, 자동 데이터 추출 및 비즈니스 연계 
 - Business Warehouse
CRM
분석기술
EDW/DM  - 기업 외부 데이터 통합을 통한 분석, 부분별 분석 ( DM ) 
 - 영업 마케팅, 고객 서비스 연계한 통합 환경 구축
Data Mining  - 고객 행동분석, 고객 수익성 분석, 고객 리스크 분석
 - 패턴분석, RFM(Recently Frequency Monetary) 분석
OLAP/Web OLAP  -  사용자 중심, 대화식, 실시간 분석, 다차원 분석 환경 제공
 - ROLAP/ MOLAP/ HOLAP
CRM 
예측기술
예측 모델링  - ‘To Know your customers, next move’ 모델 제공
 -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CRM 예측 모델기반 제공
조사/통계이론  - 분석용 통계정보 제공, 고객 행동이론 통계 활용
 - 통계적 모델 스코어링, 예측 마케팅
인공지능  -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고객의 성향을 자동으로 예측
 - Semantic 분석, 지능적 분석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아웃소싱(이상희)  (0) 2022.09.10
ITIL(문경숙)  (0) 2022.09.10
CoE(Center of Excellence)(황선환)  (0) 2022.09.10
SCM 수요예측 7단계, 예측기법(홍진택)  (1) 2022.09.10
IT투자분석(안혜진)  (0) 2022.09.10

[경영전략 목차]

 

개념

  • 기업가 정신과 비즈니스 가치, 기술 전문성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전체 비즈니스를 완벽히 이해하고 기업의 가용 기술 자원을 파악, 혁신을 주도하는 디지털 혁신 성공 위한 전략을 가진 목표 지향적 전문가 조직
  • 디지털 혁신 가속화를 위해 조직 내 새로운 역량을 이식하고 확산하기 위한 목적의 전문가 집단

디지털 혁신을 위한 추진 사항

구분 추진사항 설명
BIZ 프로세스 혁신 개발/생산/서비스 혁신 - 기업 주요 활동 혁신 추진 
정보 운영 혁신 - 기업 정보의 활용 확대/고도화
업무 자동화/지능화/고도화 - 업무 생산성 향상 및 자동화
BIZ 모델 혁신 빅블러 활용 - 이종 산업간 융합, 확대 기회 활용
융합 BIZ 발굴 - 기업 성장 주도할 신규 BIZ 발굴
혁신 제품/서비스 주도 - 기존 제품/서비스 혁신 및 재정립
조직, 문화 혁신 생산성 개선 - 디지털 전환을 통한 생산성 개선 
속도/유연성 유지 - 빠른 혁신 지속, 상황별 유연한 대응
진취성, 개방성 향상 - 변화 수용, 학습/교육 강화

성공적 디지털 혁신을 위한 CoE의 역할

구분 역할 설명
BIZ 프로세스 혁신 혁신 기술 도입 - 신기술, 신공법 소개/도입/응용
Data 응용 고도화 - 정보 분석, 응용, DB 고도화/성능개선
AI 적용/응용 - RPA, ML, BI 도입 및 적용 확대
BIZ 모델 혁신 환경 분석 - PEST, SWOT, 이종 산업 분석
프로세스 혁신 - 프로세스/업무 개선, PDCA 사이클
혁신 제품 개발 - 융합/혁신 제품, 서비스 개발 주도
조직, 문화 혁신 혁신 DNA 발굴 - 혁신 요소 발굴 및 육성, 확대, 체질화
혁신 문화 유지 - 경영진 지원 획득, 조직내 흐름 조성
개방/도전 고취 - 실패/도전 고취, 수평적 소통 문화 향상

 

CoE 조직 구성시 필요한 전문가

구분 필요 전문가 설명
사업영역 비즈니스 전문가 제품 개발자, 산업 전문가, 비즈니스 전략가, 혁신 조직, 고객 경험 전문가,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문가, 시나리오 아티스트
기술 전문가 기업 아키텍트, 정보 아키텍트, 외부 전문가, 신기술 조직, 첨단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과 정보 통합자, 디지털 기술 리더
조직영역 행동 전문가 조직 변화 전문가, 인력 설계자, 글로벌 프로그램 리더, 사회학자, 소셜 네트워크 분석가 및 재능 조정자
전략 전문가 비즈니스 전략가, 경쟁 분석가, M&A 전문가, 파트너십 리더, 디지털 마케팅 리더
교육/신기술 영역 규율 전문가 프로젝트 관리자,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문가, 지적 재산 전문가, 저작권 전문가, 규제 전문가, 금융 분석가, 투자 전문가
개척 영역 전문가 첨단 기술 리더, 트렌드 전문가(trend watcher), 산업 분석가, 경쟁 정보 분석가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IL(문경숙)  (0) 2022.09.10
CRM(유준수)  (0) 2022.09.10
SCM 수요예측 7단계, 예측기법(홍진택)  (1) 2022.09.10
IT투자분석(안혜진)  (0) 2022.09.10
OpenFlow(김지웅)  (1) 2022.09.09

[경영전략 목차]

 

1. 공급망관리(Supply Chain Management)의 개념  

 - 공급자에서 최종 소비자까지 제품의 공급체인과 관련된 모든 과정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기업의 수익증가, 고객서비스 개선을 위한 경영 혁신 기법

 - 목적: value chain 통합관리, 수익증대, 효율성 증대

 

2. 공급망관리(SCM)의 중요성 대두 배경

구분  대두 배경 설명
코로나 19 영향 수급 불안정 - 중국 상하이 봉쇄 조치 장기화 등 원자재 조달, 생산, 유통, 물류 전반이 정상화가 되지 못하면서 수급 불안정이 지속
해상 운임 상승 - 코로나 확인자 인해 컨테이너선 부족 및 시설의 폐쇄 등 해상운임의 급증으로 물류비 부담
인력 부족 - 항만 및 창고 노동자 등 인력 부족으로 물류 지연 및 적체 발생
국가간 분쟁 외교 마찰 - 일본 불화수소 관련 원자재 수출 제재 선언
- 중국 요소 수출 중단으로 인해 품귀 사태 발생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 반도체 생산의 핵심 원재료인 팔라듐 생산량의 3 분의 1 을 점유하는 러시아의 전쟁으로 원자재 수급 차질
공급망 환경의 변화 ESG 경영 전략 - ‘공급망 전체’의 환경과 인권 등 현황에 대한 실사를 의무화하는 ‘EU 공급망 실사 의무화 법안’ 발의
- 인권과 환경 및 책임있는 공급망 관리 위한 ESG 공급관 관리 강화 전략 필요
옴니채널 공급망 활성화 - 제조회사 및 소매회사는 직접 온라인채널을 통해 판매하는 전략과 기존 오프라인 채널을 통해서 판매하는 복수채널의 양상이 두 채널간의 협력형태로 진화하는 옴니채널전략이 등장

- 국내외 이슈로 인한 수급 불안정으로 전체 사업 분야의 수요 예측 및 재고 관리의 중요성 대두

 

3. SCM 수요 예측 7단계 및 수요 예측 기법

 가. SCM 수요 예측 7단계

절차 예측 단계 세부 내용
1 단계 예측 계획 수립 단계 - 예측 목적과 기간을 확정
- 제품의 대상 확정 및 장기,중기,단기의 예측 기간 계획 수립
2 단계 자료 수집 단계 - 수요 예측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
- 설문조사, 자료조사, 통계조사, 딥러닝 기반 조사
3 단계 수요 영향 요인 분석 - 시장규모,공급자, 잠재적 경쟁사,기존 경쟁사, 대체재,소비자욕구 외부적 영향 요인 분석
- 내부 성장률, 조직 구성, 기술력 등의 내부적 요인 분석
4 단계 수요 예측 기법 선정 - 수요 영향 요인 및 자사의 상황을 고려한 수요 예측 방법 결정
- 정성적, 정량적 수요 예측 기법 활용
5 단계 예측 실행 및 분석 -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 예측 실시
- 기법간의 오차에 대한 분석 실시
6 단계 예측 결과 검증 - 예측 수량과 Sales Order 비교
- 영업 사원 예측 수량 / Sales Order 변동량 비교
7 단계 예측 결과 활용 - 제품에 대한 용도별, 소비자별 수요예측 변동 대한 실시간 공유
- 수요예측 프로세스 자동화를 위한 Work Flow 관리

- 수요 예측 관련 부서별 수요 예측치 검토 및 비교 통한 예측 정확도 향상 활동 중요

 

 나. SCM 수요 예측 기법

구분  예측 기법 설명
정성적
기법
전문가 의견 - 과거와 같은 데이터 수집이 불가능한 상황
- 해당 제품 또는 유사 제품 시장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보유한 전문가 확보 가능
시장 조사법 - 시장의 상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 이를 이용하여 예측하는 방법
패널 동의법 - 패널의 의견을 모아 예측치로 활용
중역 의견법 - 중역들의 의견을 모아 예측치로 활용
판매원 의견
합성법
- 각 지역 담당판매원들의 각 지역에 대한 수요 예측치를 모아 전체 수요를 예측하는 방법
정량적
기법
회귀분석 - 분석 대상의 데이터 확보 여부가 중요
- 인과관계 파악이 필요한 모든 분야
시계열 분석 - 과거 데이터 수집이 용이한 분야
- 다양한 변수, 시차 등 복잡한 인과관계를 모형화 가능
확산 모형 - 신제품이나 신기술에 대한 수요 예측
- 과거 데이터 수집이 불가능하거나 초기 데이터만 활용 가능한 상황
이동평균법 - 제품의 판매량을 기준으로 일정기간별로 산출한 평균 추세를 통해 미래수요 예측 방법
시스템 정보 예측 시장 - 제품 또는 주변 상황에 대한 장기적 실시간 변화 추이 파악
인공신경망 - 인과관계가 복잡하고 많은 데이터 분석이 필요한 예측 문제에 적합
- 미래 고객을 발굴하는 마케팅 문제에도 활용

- 물류 수급 불안정 상태 대비해 적정 재고 산정 시 적정 수요 예측 및 수요 계획이 중요

 

4. 안전재고 및 적정재고 산정방법

 가. 안전재고 산정방법

나. 적정재고 산정방법

 - 해당 산출 방법을 뼈대로 하여 기업 내외부 환경에 맞게 적용하여 사용 가능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M(유준수)  (0) 2022.09.10
CoE(Center of Excellence)(황선환)  (0) 2022.09.10
IT투자분석(안혜진)  (0) 2022.09.10
OpenFlow(김지웅)  (1) 2022.09.09
재난통신(배준호)  (1) 2022.09.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