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전략 목차]

1. IT  아웃소싱 개요

1) IT 아웃소싱 정의

  • 기업의 Value Chain 상의 활동 중 경쟁우위가 있는 일부 활동만 내부에서 수행하고, 비전략적인 부문을 해당분야의 전문가로부터 조달하는 정보기술 위탁서비스
  • 외부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정보시스템 관리 활동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위탁하여 관리하는 것
  • 외부를 뜻하는 ‘Out’과 자원 활용을 뜻하는 ‘Sourcing’의 합성어

 

2) IT 아웃소싱의 필요성

필요성 설명
선택과 집중 경쟁 우위를 위한 핵심역량에 집중가능
전문성 확보 전문업체를 활용한 신기술확보신뢰성 및 품질확보
TCO 측면 인력보유에 대한 부담과 전체적인 비용감소
운영 측면 내부운영 및 기능의 생산성 제고

 

2. IT 아웃소싱 유형 및 추진절차 

1) IT 아웃소싱 유형

유형 항목 특징 및 설명
Total
Outsourcing
정의 - IT 기능 전체를 Single Vender에게 위탁
장점 - 업무효율성 증대책임소재의 명확성
- 친밀한 관계유지아웃소싱 비용 효과 비교적 저렴
단점 - 독점적 선택문제가격경쟁의 어려움경쟁부재에 따른 안일한 상황 대두될 수 있음
Selective
Outsourcing
정의 - 선택된 기능을 Multi Vender에게 위탁하는 서비스유형
장점 - 경쟁으로 인한 품질향상효율적인 가격 경쟁력 가능
- 경쟁으로 인한 나태함 방지
단점 - 책임소재 불명확고객의 요구 파악이 어려움
IT Subsidiary
Outsourcing
정의 - IT전문 법인(자회사)을 설립한 후에 위탁 서비스
장점 - Family의식의사소통 및 단절감 조성 및 성실한 고객응대
단점 - 관계성으로 인한 비용증가나태함
- 수익성 기반을 확장하지 못하면 공멸 위험 존재
Co-sourcing 정의 - IT기획 총괄과 수행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형태
- 코소싱사업자와 Vender가 공동 추진하는 형태
장점 - 급변하는 환경에 적합
- Total Outsourcing의 문제점 해결
- IT전반에 대한 기획 및 평가권 보유로 인하여Risk감소
단점 - 전략과 수행의GAP발생 가능한 구조
- 위화감 조성 등의 단점 존재

 

2) IT 아웃소싱의 추진절차

절차 설명 주요활동
대상업무 선정 - 정보시스템 전략 및 아웃소싱 수행 계획 수립
- 아웃소싱 대상 업무의 선정(목표 설정)
- SWOT 분석
- 경쟁환경 분석
아웃소싱업체 선정 - RFP에 의한 우선 서비스 제공자 선정
- Proposal 평가 및 가격 협상
- 공개 입찰 및 통한 서비스 업체선정
- 업체 서비스 지속성 판단
- Weighting(가산점방식 등의 평가
협상 및 계약 - 서비스 수준비용업무 분량에 따른 협상
- 협상 결과를 바탕으로 계약 진행
- ITIL 수준의 서비스 제공 능력 평가. SLA 확정
전환 및 이행 - 정보 자원의 이전 및 서비스전환
- 자산인력 등의 이전 작성 진행 후 운영
- SLA 준수여부검증
- KPI 지표운영
계약 관리 - 서비스 수준에 따른 성과 관리
- 계약기간 만료 후,계약 갱신
- 주기적인 평가 진행
- BSC, ROI 등 지표를 통한 공정한 성과 평가
계약 전환 - 제3의 서비스 제공자와 계약 또는 내부 전환(In-sourcing)

 

3. IT아웃소싱 위험요소/해결방안 및 대상선정시 고려사항

1) IT 아웃소싱 위험요소/해결방안

구분 위험요소 해결방안
통합문제
(Control)
- 서비스레벨성과 측정의 문제점
- 미래환경의 불확실성에 따른 계약의 안정성 유지고려
- 적절한 Pilot시행을 통한 검증,보완
- 계약사항 조정변경을 위한 유연성 확보
보안문제
(Security)
- 전략정보프라이버시 정보 등의 유출에 의한 피해 - 필요 보안 수준의 명확한 정의
- 관리적/운영적/기술적 보안수준 제고
고객 비즈니스 이해부족 - 고객 산업업무문화의 이해 부족으로 인한 성과 저하 및 불필요한 충돌 발생 가능성 - 유사 영역의 경험보유 벤더 선정
- 효과적 커뮤니케이션 교육지원
아웃소싱 변경문제 - 아웃소싱 대상 기능 및 서비스 벤더의 변경 혹은 아웃소싱 기능의 회수 등에 따르는 높은 교체비용
- 기회비용 발생
- 장기적 계획에 따른 아웃소싱 추진
- 핵심 기능 및 핵심 인력은In-sourcing 유지 및 혼합적용
의존성 문제 - 정보시스템 서비스에 대한 업체에게 과도한 의존으로 Procurement 유연성 확보 실패 및 업체Selection 범위 제한 - IT TrendKnowledge (기술, 벤더 아웃소싱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Follow-up
업체평가 문제 - 업체에 대한 공정한 평가 필요 - BSC, ROI에 의한 평가
- KPI등 실적에 대한 공정한 평가반영

 

2) IT 아웃소싱 대상 선정시 고려사항

관점 내 용 요구 사항
재무적 관점 - 비용절감 효과분석 명확화 필요
- 아웃소싱 대상을 향후 사업 변경 등의 목적으로 다른 형태로 변경할 경우 기회비용 고려
- ROI, TCO, KPI 등 정량적 지표 확립
기술적 관점 - 기업 합병, 비즈니스 통폐합 등 기업 IT 환경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능력 필요
- 기술 습득의 기회 제공
- 개방형, 서비스 지향형 지원 여부
- 교육, 연수의 제도화
사업적 관점 - DRS, BCP 등 사업 연속성 강화 위한 서비스
- SLA에 기반한 SLM 운영
- ITO 업체 서비스 능력 평가
- SLA 명확화

 

참고. IT 아웃소싱 추진 프레임워크

  • IT아웃소싱 추진 프레임워크 (IT아웃소싱 운영관리 매뉴얼 v2.0 ‘2011, 행정안전부, NIA)
  • IT아웃소싱 추진 프로세스는 사업계획 수립, 발주 및 계약, 서비스 이전관리, 서비스 수행관리, 계약관리 및 정산의 5개 단계별로 10개의 활동(Activity)과 34개의 작업(Task)으로 구성

프로세스 참조
사업계획 수립 프로세스 - 현황분석 및 조직 구성, 사업계획서 작성
-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의 기준 및 기관(조달청, 특허청 ) 사례를 참고
발주 계약 프로세스 - 제안요청(RFP), 사업자선정 및 계약 체결
- 행정안전부의
정보화사업 표준 프로세스(2009.10) 준용
서비스 이전관리 서비스 수행관리 프로세스 - 서비스 이전, 성과관리, 운영 및 유지보수 관리
- 국제
표준인 CMMI, ITIL V3 프로세스를 발주기관 실정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 IT아웃소싱 운영관리 매뉴얼 매뉴얼의 핵심내용
계약관리 정산 프로세스 - 계약관리, 계약전환, 결과보고 및 사업비 지급
- 정보시스템
운영 아웃소싱 관리 지침(2005.12) 참조

001 IT아웃소싱_운영관리_매뉴얼(V2.0)2011.PDF
2.93MB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경영(김지웅)  (2) 2022.09.10
IT 생산성 패러독스(이재용)  (0) 2022.09.10
ITIL(문경숙)  (0) 2022.09.10
CRM(유준수)  (0) 2022.09.10
CoE(Center of Excellence)(황선환)  (0) 2022.09.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