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 기업가 정신과 비즈니스 가치, 기술 전문성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전체 비즈니스를 완벽히 이해하고 기업의 가용 기술 자원을 파악, 혁신을 주도하는 디지털 혁신 성공 위한 전략을 가진 목표 지향적 전문가 조직
- 디지털 혁신 가속화를 위해 조직 내 새로운 역량을 이식하고 확산하기 위한 목적의 전문가 집단
디지털 혁신을 위한 추진 사항
구분 | 추진사항 | 설명 |
BIZ 프로세스 혁신 | 개발/생산/서비스 혁신 | - 기업 주요 활동 혁신 추진 |
정보 운영 혁신 | - 기업 정보의 활용 확대/고도화 | |
업무 자동화/지능화/고도화 | - 업무 생산성 향상 및 자동화 | |
BIZ 모델 혁신 | 빅블러 활용 | - 이종 산업간 융합, 확대 기회 활용 |
융합 BIZ 발굴 | - 기업 성장 주도할 신규 BIZ 발굴 | |
혁신 제품/서비스 주도 | - 기존 제품/서비스 혁신 및 재정립 | |
조직, 문화 혁신 | 생산성 개선 | - 디지털 전환을 통한 생산성 개선 |
속도/유연성 유지 | - 빠른 혁신 지속, 상황별 유연한 대응 | |
진취성, 개방성 향상 | - 변화 수용, 학습/교육 강화 |
성공적 디지털 혁신을 위한 CoE의 역할
구분 | 역할 | 설명 |
BIZ 프로세스 혁신 | 혁신 기술 도입 | - 신기술, 신공법 소개/도입/응용 |
Data 응용 고도화 | - 정보 분석, 응용, DB 고도화/성능개선 | |
AI 적용/응용 | - RPA, ML, BI 도입 및 적용 확대 | |
BIZ 모델 혁신 | 환경 분석 | - PEST, SWOT, 이종 산업 분석 |
프로세스 혁신 | - 프로세스/업무 개선, PDCA 사이클 | |
혁신 제품 개발 | - 융합/혁신 제품, 서비스 개발 주도 | |
조직, 문화 혁신 | 혁신 DNA 발굴 | - 혁신 요소 발굴 및 육성, 확대, 체질화 |
혁신 문화 유지 | - 경영진 지원 획득, 조직내 흐름 조성 | |
개방/도전 고취 | - 실패/도전 고취, 수평적 소통 문화 향상 |
CoE 조직 구성시 필요한 전문가
구분 | 필요 전문가 | 설명 |
사업영역 | 비즈니스 전문가 | 제품 개발자, 산업 전문가, 비즈니스 전략가, 혁신 조직, 고객 경험 전문가,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문가, 시나리오 아티스트 |
기술 전문가 | 기업 아키텍트, 정보 아키텍트, 외부 전문가, 신기술 조직, 첨단 서비스 제공자, 시스템과 정보 통합자, 디지털 기술 리더 | |
조직영역 | 행동 전문가 | 조직 변화 전문가, 인력 설계자, 글로벌 프로그램 리더, 사회학자, 소셜 네트워크 분석가 및 재능 조정자 |
전략 전문가 | 비즈니스 전략가, 경쟁 분석가, M&A 전문가, 파트너십 리더, 디지털 마케팅 리더 | |
교육/신기술 영역 | 규율 전문가 | 프로젝트 관리자,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문가, 지적 재산 전문가, 저작권 전문가, 규제 전문가, 금융 분석가, 투자 전문가 |
개척 영역 전문가 | 첨단 기술 리더, 트렌드 전문가(trend watcher), 산업 분석가, 경쟁 정보 분석가 |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IL(문경숙) (0) | 2022.09.10 |
---|---|
CRM(유준수) (0) | 2022.09.10 |
SCM 수요예측 7단계, 예측기법(홍진택) (1) | 2022.09.10 |
IT투자분석(안혜진) (0) | 2022.09.10 |
OpenFlow(김지웅) (1) | 2022.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