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전략 목차]

 

1. IT투자분석의 개요

1) IT 투자분석의 정의

  • IT투자 대안에 대한 성과를 객관적/논리적으로 측정하고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측정, 평가 방법
  • IT투자에 대한 효과를 정량화, 계량화하여 화폐가치로 표현하는 방법
  • 기업이 정보기술을 활용한 시스템을 도입할 때 비용과 편익을 측정하고, 투자 사업에 대한 타당성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분석기법

2) IT 투자분석의 필요성

  • 비즈니스 측면 
    • 대규모 투자에 대한 성과평가 필요
    • 경영진들의 명확한 수익 등의 결과 요구
  • 기술적 측면
    • IT 투자 규모의 대규모화
    • 효율적인 IT 서비스 관리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 강화

 

2. IT투자분석 프로세스 및 주요 지표

1) IT투자분석 프로세스

2) IT투자분석 주요지표

지표 주요지표 설명
품질지표 정보 품질 - 정확성, 중요성 등 정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지표
- 제공하는 데이터에 대한 품질
시스템 품질 - 적시성, 신뢰성 등 정보 시스템 자체 품질에 대한 지표
- 전산 시스템에 대한 자체 품질 평가
이용지표 정보시스템 활용도 - 업무 프로세스 및 운영을 통해 활용 평가하는 지표
- 시스템의 가용성 지표
사용자 만족도 - 의사결정 활용도, 산출물 활용에 대한 사용자 부서 평가 지표
- 현업 사용자의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접속 시간 - 사용시간, 사용횟수, 로그기록으로 접속 시간으로 평가하는 지표
효과지표 업무 성과 향상도 - 개인/기업의 IT 투자 전/후 업무 성과 향상 평가 지표
- 전반적 측면에서 투자에 대한 성과 여부 평가 
업무 처리시간 - 개인/기업의 처리시간 단축에 대한 평가 지표

 

3. IT투자분석 유형

1) IT투자분석 유형

유형 설명 방법론
Real Option Valuation
(실물 옵션 가치)
- 실물 옵션 가치 평가
- 프로젝트에 대한 다양한 투자 옵션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여 다음 단계의 투자를 결정하는 기법
블랙솔츠, 이항옵션, 몬테카를로
Cost Benefit Analysis
(비용 편익 분석)
- 비용 편익 분석
- 투입된 모든 비용과 가능한 모든 편익을 선정하는 기법
ROI, NPV, IRR, PP
Multi-Criteria Analysis
(다중 분석)
- 다중 접근 방법론
- 다양한 평가항목을 통해 최적의 방안을 선정하는 기법
재무적, 비즈니스적 기술적 리스크 평가

2) IT투자분석 상세 기법

 

유형 상세 기법 설명
비용 편익 분석 투자자본수익률(ROI) - 총성과비용 / 총 소요 비용
투자회수기간(PP) - 투자된 비용(이익 제외)의 회수 시점까지 걸리는 기간
순 현재가치(NPV) - 미래 예상 이익을 현재의 화폐가치로 환산
내부 수익률(IRR) - 현금 수익의 흐름을 현재가치로 환산
실물 옵션 가치  블랙 숄츠 모형 - 프로젝트 가치 변화에 따른 옵션 수식 도출
이형 모형 - 프로젝트 가치 변화 요인을 두가지로 제한하는 이형 모델
다중 분석 다목적 의사결정 모형 - 무한개 대안집합에서 목적들을 가장 만족시키는 대안 분석
다속성 의사결정 모형 - 유한개 대안집합에서 하나 및 선호도가 강한 대안 분석

 

4. IT투자분석 평가 주요 분석 기법

 

분석 기법 측정 방법 판단 기준
투자 수익율
(Return On Investment)
- 총 프로젝트 비용 대비 순 효과 비율
- ROI = 순효과 / 총비용 X 100
ROI ≥ 200%
순현재가치
(Net Present Value)
- 정확한 미래 순이익 규모 평가
NPV ≥ 0
편익/비용
(Benefit/Cost)
- 비용, 편익 발생 시간의 고려
B/C ≥ 1
내부수익률
(Internal Rate of Return)
- 정확한 미래 순이익 규모 평가
IRR ≥ r
NPV = 0 시점
회수기간법
(Payback Period)
- 투자 비용의 회수 시점 측정 순이익 = 0 시점

- r = 사회적 할인율, T = 분석 기간

- 사업성 평가 분석에 사용된 각종 추정치의 오차를 보완하기 위해 비용, 할인율 등 주요 모수의 변화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병행 수행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E(Center of Excellence)(황선환)  (0) 2022.09.10
SCM 수요예측 7단계, 예측기법(홍진택)  (1) 2022.09.10
OpenFlow(김지웅)  (1) 2022.09.09
재난통신(배준호)  (1) 2022.09.06
제로 레이팅 (홍진택)  (0) 2022.09.03

[네트워크 목차]

 

1.    SW를 통한 라우팅 경로 통제 기술, OpenFlow 개요

-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스위치망을 통해 네트워크 패킷의 경로를 정의하는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기술

-      (특징) NW가상화, 중앙제어, Scalability, High level Routing,

 

2.    OpenFlow 구성도 및 동작절차

가.  OpenFlow 구성도

나.  OpenFlow 동작절차

동작절차 설명
1 Flow Table 셋팅 관리자, 사용자가 설정한 Flow Table을 장비에 전송
2 트래픽 발생 장비에 연결된 호스트에서 트래픽 발생
3 (매칭 시) 라우팅 수행 장비 내 Flow Table 비교 후 매칭 시Action 수행
4 (미 매칭 시) 패킷 전송 Flow Table에 없으면 컨트롤러로 전송
5 (미 매칭 시) Flow Table변경 컨트롤러에서 설정한 Flow Table을 받아옴
6 (미 매칭 시) 라우팅 수행 새롭게 받은 Flow Table대로 라우팅 수행

-      OpenFlowL2,L3,L4 계층에서 모두 사용 가능

 

3.    Flow Table 구성 요소 및 OpenFLow 동작사례

가.  FlowTable 구성 요소

-      match : 2,3,4계층의 데이터를 검출 가능

-      Action : 검출 시 어떤 행위를 취할 것인지 나타냄

-      Stats : 통계정보 수집

. openFlow 동작 사례

-      openFlow를 통해 매칭 룰에 따른 action을 수행       

 

4. OpenFlow 활용분야별 기대효과

활용분야 Open Flow 적용 전 Open Flow 적용 후
보안 강화 Bastion Host를 통과한 내부망 내 IP 트래픽 추적 불가 내부망 내 IP 트래픽 추적 및 차단 가능
N/W 신기술 연구 연구망/운영망 트래픽 분리 불가로 신규 라우팅 알고리즘, 네트워크 프로로콜 개발 불가 컨트롤 플래인과 포워딩 플래인 분리로 다양한 실험 가능
데이터 센터  트래픽 조정을 위해서는 Vender에 종속된 장비들의 라우팅 테이블을 일일히 수정 Vender에 관계없이 OpenFLow 설치 시 모든 장비 일괄 제어 가능

-      기존 스위치는 OpenFlow 펌웨어를 설치하여 OpenFlow 사용 가능

-      OpenFlow는 라우팅과 트래픽 모니터링을 수행하지만 SNMP와 같이 네트워크 설정, 장비 관리와 같은 장치 관리 기능은 부재

 

 

 

[네트워크 목차]

 

국가재난 안전통신망(PS-LTE)

 

1. LTE 기술을 기반 공공안전 통신망 , PS-LTE 의 개요

- 화재, 홍수, 지진, 해일 등 대형 재난 발생 시 국가 차원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 관리를 위해 LTE 기반 무선 교신 기술

- 목적 : 통합적 재난대응, 중복투자 방지, 신속한 재난 대응(골든타임 확보)

 

2. PS-LTE 플랫폼 및 주요기술

1) PS-LTE 플랫폼

- 3GPP Release 12, 13 을 통해 규격 표준화

2) PS-LTE 주요기술

구분 주요기술 설명
비표준 구현영역 Command Center 재난관리 지령센터, 연계망 관리센터
NMS 통합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3GPP 표준화 영역 D2D(Device to Device) 네트워크의 개입 없이 단말기(Device) 간 설정에 의해 통신환경을 구축하는 방식. 기지국외 통신
ProSe(Proximity-based Service) NW(기지국)에서 직접통신 권한을 받는 방식. 기지국내 통신
GCSE (Group Communication System Enablers) 동일 콘텐츠를 기지국을 통해 단말 그룹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PTT를 지원하기 위한 핵심기술
MCPTT (Mission Critical Push to Talk) 무전기와 같이 스위치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대기시간 (0.3초이내)을 최소화하여 일대일 또는 그룹통화가 가능한 기술
IOPS(Isolated E-UTRAN Operation for Public Safe) 망 운영센터 ↔ 기지국간 단절 시 임시적으로 커버리지 확보 및 용량 증설을 위해 이동 기지국을 사용하는 기술

- 기존의 LTE 기술에 재난 안전에 필수적인 기능을 추가

 

 

LTE-R

 

1. 철도전용 무선통신망, LTE-R 의 개요

- 열차제어 및 철도의 음성 및 영상 서비스 제공을 위해 LTE 기반의 철도용 차세대 통합 무선망

- (특징) 350km/h 이상 속도에서 Hand over 가능, 700Mhz 주파수 대역

 

2. LTE-R 구성도 및 구성요소

 1) LTE-R 구성도

 

2) LTE-R 구성요소

구분 구성요소 설명
LTE-R 코어망 EPC(Evolved Packet Core) 관제센터 주제어장치
IMS(IP Multimedia Subsystem)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기반으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
LTE-R 무선통신망 DU(Data Unit) 디지털 데이터 처리 장치
RRU(Remote Radio Unit) 기지국
LTE-R 단말 ATP 열차의 이동권한 및 제한속도를 전송받아 열차를 제어하고 방호하는 장치
발리스(Balise) 지상-차상간 정보 전송 장치
BTM(Balise Transmission Module) 궤도와 열차간의 간헐적인 전송을 위한 차상장치
STU(Safety Transmission Unit) 지상-차상간 송수신되는 정보의 신뢰성 및 보안성 확보 위한 장치

 

 

 

LTE-M

 

1.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 LTE-M의 개요

 - 선박과 선박(육상)간 충돌방지, 항로지원 등 안전사고예방을 위해 e-Navigation 서비스를 구현하기 하는 초고속 대용량 통신시스템

 

2. LTE-M 아키텍처 및 구성요소

 1) LTE-M 아키텍처

2) LTE-M 구성요소

구분 구성요소 설명
e-Navigation System E-Nav. Operating System Remote Monitoring, Ship Monitoring, Pilot support, Security Info
Mobile Sea Map Electronic Sea Map, 모바일 항해 지도
LTE-M Operation Center NMS Network Management System, 네트워크 망 중앙 감시 및 관리
EMS Element Management System, 통신망 장비 감시 제어
ESM Enterprise System Management, 통합 보안 관제 시스템
Backup Device 데이터 백업 및 복원
LTE-M BTS RU Radio Unit, 단말 신호 전송, 중계기
DU Digital Unit, Packet 변환, 기지국
VHF/HF BS AIS/ASM Application Specific Messages, 표준통신메세지
VDE Virtual Distribute Ethernet
Comm. Device LTE-M Router GPS, Modem 데이터 관리

 

읽어보면 좋은 자료

재난통신 개괄적인 내용과 동일 주파수 대역(700MHz) 사용으로 인한 간섭현상 해결방안(네트워크 공유, RAN Sharing) 

국내공공망에서의 네트워크 공유방안.pdf
1.86MB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투자분석(안혜진)  (0) 2022.09.10
OpenFlow(김지웅)  (1) 2022.09.09
제로 레이팅 (홍진택)  (0) 2022.09.03
무선 매쉬 네트워크(문경숙)  (0) 2022.09.03
MEC (이상희)  (0) 2022.09.03

[네트워크 목차]

 

1.제로 레이팅(Zero Rating) 개요

  • 콘텐츠 사업자가 통신사와 제휴를 통해 이용자가 특정 콘텐츠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 이용료를 면제 또는 할인해 주는 제도로 0원 요금제, 스폰서 요금제라 함.
  • 장점)  차별화를 통한 추가 매출 증대와 소비자 후생 증진이 가능, 양면시장 또는 다면시장에서 효율적인 가격 메커니즘 될 수 있으며, 인프라가 빈약한 개발도상국에서는 모바일 브로드밴드 확산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수단 됨
    단점) 망줄립성 규제 원칙과 충돌이 발생, 컨텐츠 시장의 공정 경쟁 약화 및 사업자 배제가 발생할 우려 있음, 표현의 자유를 약화 

2. 제로 레이팅의 주요 유형 및 찬반논란

   가. 제로 레이팅 주요 유형

유형 내용 예시
통신사 전략 서비스 보통 망사업자가 자사 또는 자사 관련사의 고객을 위해 전략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네트워크 비용을 추가로 부과하지 않은 경우 - SK텔레콤의 11번가 및 
- band 플레이팩(옥수수), Telco TV등
무료 서비스/콘텐츠 마케팅/시장 개척 등을 위해 콘텐츠 또는 서비스 사업자가 비용부담을 하고 고객들에게 무료로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 - 페이스북 zero
- 구글의 Free zone
- 카카오택시앱 등
정액제 상품 네트워크 비용이 서비스 요금과 함께 번들링되어 제공되는 정책형 서비스 상품 - 다음카카오팩
- 멜론 정액형 상품 등
지원 시스템형 무과금 내부 시스템형 서비스 혹은 고객지원형 서비스를 위해 무과금으로 서비스 형태 - 사업자의 고객센터

- 망중립성 원칙에 따라 제로레이팅 서비스를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과 여러 장점을 고려해 이를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대립함.

 

   나. A. J. Carrillo(2016)와 DotEcon가 제시한 제로레이팅 유형

- 단일 사이트/서비스 제로레이팅: 컨테츠 제공자가 통신사업자와 계약을 맺어 이용자가 특정 사이트나 서비스에 대하여 무료로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하용

- 스폰서드 데이터(Sponsored Data): 이용자가 무료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지만, 컨텐츠 제공자가 통신사업자에게 대가를 지불하는 유형

- 복합 제로레이팅(Compound Zero-rating): 스폰서 기업이 통신사업자와 연대하여 여러 사이트 및 서비스의 묶음에 대해 이용자가 무료로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것(통신사에게 대가 지불은 없음)

- 가짜 제로레이팅(Non-selective Zero-rating): 컨텐츠 제공자가 하나 이상의 통신사와 연대하여 제한된 분량의 무료 데이터를 어떤 조건(광고시청 또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등)을 충족한다는 전제하에,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것

- Bundled Free: 데이터 사용요금이 요금(tariff)에 번들화되며 제로레이티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엑세스는 공짜이다. 가입해야만 이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사용요금이 면제되지만 그 어플리케이션의 가입비가 요금에 번들화되지 않는 사례들도 이 유형 속에 포함

- 번들드 가입(Bundled Subscription): 제로레이티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을 위해서는 대개 가입이 요구되며 가입비 및 데이터 사용요금 둘 다 요금에 번들화 된다 
- 이에 반해 Add-on은 추가 요금을 통해 고객에게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로레이팅 옵션이 주어지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는 제로레이팅에 해당하지 않는다. 

 

   다. 제로 레이팅 찬반 논란

찬성 의견 반대 의견
- 망통신사는 고객을 고정(Lock-in)시킬 수 있고, 고객은 비용부담이 완화되는 윈윈 전략 - 보상을 이유로하는 차별적인 적용은 비정상적 활용과 같은 망중립성 위배 발생
- 소바자의 제로레이팅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존재하므로 선택의 기회 제공 필요 - 자본력이 있는 사업자들에게 유리하여 공정경쟁을 저해
- 주파수는 많은 비용이 치러진 한정된 재화로 콘텐츠의 무제한 탑승 제한 필요성. - 신규서비스를 출시하는 스타트업의 시장 진출 어려움 등, 혁신에 걸림돌
- 신규서비스나 가입자 확보를 위해 효율적인 마케팅 수단 - 소비자의 선택권 자체를 훼손하여 당장은 부담이 줄지만 결국 소비자에게 불리
- 폭발적인 무선트래픽 혼선 문제 발생 시 이의 조절 기능과 같이 효율적인 관리 가능 - 무선 영역에도 유선과 같은 망중립성 기준 적용 필요.

- 제로레이팅 서비스에 대한 찬성과 반대 주장에 직/간접적으로 소비자 후생에 영향이 근거로 제시되고 있으나 제로레이팅 서비스가 소비자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단편적으로 판단하기 쉽지 않음. 

 

3. 제로 레이팅 시사점

시사점 내용
제로레이팅 서비스의 유형별 특징을 고려한 규제체계 마련이 필요 - 인터넷서비스나 콘텐츠 사용에 데이터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는 제로레이팅 서비스의 외형은 동일
- 통신사업자가 이러한 요금 체계를 적용하는 목적과 그 내용, 구조는 서비스별로 다양함.
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의 공공성을 강화 - 서비스특성에 따라 제로레이팅이 용인될 수 있는 유형과 그렇치 않은 유형을 세분화 후 제도화 하는 것이 필요.
망을 제공하는 통신서비스를 비롯하여 인터넷 서비스 및 콘텐츠 사업자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제도개선 노력 - 정부는 공공 와이파이 존을 구축, 확대하여 서민,취약 계층의 통신비 부담 완화
- 통신사업자의 사업 자율성도 고려하되 취약계층의 통신비 부담 완화나 무선인터넷 이용격차 해소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Flow(김지웅)  (1) 2022.09.09
재난통신(배준호)  (1) 2022.09.06
무선 매쉬 네트워크(문경숙)  (0) 2022.09.03
MEC (이상희)  (0) 2022.09.03
MQTT (이강욱)  (0) 2022.09.03

[네트워크 목차]

 

I. 고속 로밍 기술 무선 매쉬 네트워크 개요

가. 정의

-. 유선 인프라의 도움 없이 무선 인프라의 환경에서 고정이나 이동중에 모든 노드가 통신할 수 있는 다중 경로 네트워크

-. 메쉬 라우터들과 메쉬 단말들로 구성되 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기술

 

-. 메쉬 라우터:

  • 제한된 이 동성을 갖고 데이터 전달의 신뢰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무선 백본을 형성
  • 메쉬 네트워크를 인식하지 못하는 기존의 단말 역시 수용할 수 있는 방안도 제공
  • 메쉬 네트워킹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에 중점
  • 향상된 메쉬 네트워킹을 제공하기 위해 다중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
  • 무선 메쉬 라우터는 작은 전송 파워를 가지고도 같은 넓이의 무선 영역을 가질 수 있다.

 

-. 메쉬 단말:

  • 고정된 노드이거나 이동성을 갖는 노드
  • 메쉬 라우터와 단말들 간의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
  • 자신들 사이의 메쉬 연결을 자동 설립 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애드혹 특성을 통해 네트워크를 자가 구성
  • 모든 노드는 호스트이자 라우터로 동작
  • 목적지가 직접적인 무선 통신 반경에 있지 않는 다른 노드들을 위해 중간 노드들이 패킷을 대신 전달
  • 저비용으로 네트워크의 구성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해주고 메쉬 형태의 연결은 전달 경로의 신뢰성을 높여주게 된다
  •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PCA 등과 같은 기존의 단말은 무선 인터페이스 카드 (NICs) 를 장착하여 메쉬 라우터에 직접 연결
  • 무선 NIC 이 없는 단말들은 이더넷과 같은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 접속 기술을 사용 하여 메쉬 라우터에 연결
  • 메쉬 라우터의 게이트웨이 /브리지 기능들은 다양한 이종 네트워크와의 연동 방안을 제공

 

나 특징

특징
내용
지동망구성
(Self Discovery & Configuration)
- 자가 구성을 통해 매쉬형 토폴로지 상에서 다중경로에 따른 통신 신뢰성 확보 가능
- 소방/재난/군사 등 통신 인프라가 열악/긴급상황시 자동구성으로 유용
자동망 복구
(Self Healing)
- 단일 경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물리적 절체/트래픽 과부하시 새로운 최적경로 탐색
- 주기적으로 최적의 무선링크를 탐색, 노드별로 처리되는 지연율을 자동 계산
광역 커버리지
- 멀리홀 라우팅을 통한 광역 커버리지 구축으로 더 넓은 커버리지를 확보
- 자동 주파수 선택기능을 통한 주파수 재사용과 저전력 사용
고속 로밍기술
(Fast Roaming)
- Hot-Spot 형태의 무선 서비스는 이동중 끊김, 고정 AP 및 유선연결 필요
- 매쉬 노드에 전원만 공급되면 지하철, 기차 등에서도 서비스 지원 가능
보안기능제공
- IP-Sec, RADIUS/TACAS 등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트래픽 보호

II.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조 및 주요 기술

.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성도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성요소

구성요소 상세설명
MPP - MP Portal, Mesh Network 관리
MP - Mesh Point, WLAN Mesh Network 기능만을 갖는 노드
MAP - Mesh Access Point, MP기능과 Internetworking을 위한 GW 기능 제공
STA - Station, 기존의 WLAN 최종 노드

 

 

. 무선 메쉬 네트워크 주요기술

구분
주요기술
종류
물리계층
송수신 기술
MIMO, OFDM, 스마트안테나, STC
변복조 기술
다중 사용자 검출, QP나 QAM Pulse Modulation
채널 코덱
H-ARQ, LDPC
MAC 계층
자원관리/효율증대
스케줄링, 전력제어, 주파수 재사용, 가입자 식별 기술
무선 링크제어 기술
랜덤액세스(CSMA), ARQ, 핸드오버, 멀티/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계층
망구성기술
네트워크 연결, 망 연동 기술, 망제어기술, NMS
라우팅기술
Multi-Hop 라우팅 기술
응용서비스
응용서비스기술
ID/센싱 기술, LBS, 텔레매틱스 기술, RADIUS/TACAS

 

 

[네트워크 목차]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난통신(배준호)  (1) 2022.09.06
제로 레이팅 (홍진택)  (0) 2022.09.03
MEC (이상희)  (0) 2022.09.03
MQTT (이강욱)  (0) 2022.09.03
NFV (이재용)  (0) 2022.09.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