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목차]

 

I. 고속 로밍 기술 무선 매쉬 네트워크 개요

가. 정의

-. 유선 인프라의 도움 없이 무선 인프라의 환경에서 고정이나 이동중에 모든 노드가 통신할 수 있는 다중 경로 네트워크

-. 메쉬 라우터들과 메쉬 단말들로 구성되 는 무선 네트워크 접속기술

 

-. 메쉬 라우터:

  • 제한된 이 동성을 갖고 데이터 전달의 신뢰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무선 백본을 형성
  • 메쉬 네트워크를 인식하지 못하는 기존의 단말 역시 수용할 수 있는 방안도 제공
  • 메쉬 네트워킹을 지원하기 위한 기능에 중점
  • 향상된 메쉬 네트워킹을 제공하기 위해 다중 무선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
  • 무선 메쉬 라우터는 작은 전송 파워를 가지고도 같은 넓이의 무선 영역을 가질 수 있다.

 

-. 메쉬 단말:

  • 고정된 노드이거나 이동성을 갖는 노드
  • 메쉬 라우터와 단말들 간의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
  • 자신들 사이의 메쉬 연결을 자동 설립 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애드혹 특성을 통해 네트워크를 자가 구성
  • 모든 노드는 호스트이자 라우터로 동작
  • 목적지가 직접적인 무선 통신 반경에 있지 않는 다른 노드들을 위해 중간 노드들이 패킷을 대신 전달
  • 저비용으로 네트워크의 구성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해주고 메쉬 형태의 연결은 전달 경로의 신뢰성을 높여주게 된다
  •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PCA 등과 같은 기존의 단말은 무선 인터페이스 카드 (NICs) 를 장착하여 메쉬 라우터에 직접 연결
  • 무선 NIC 이 없는 단말들은 이더넷과 같은 기존의 유선 네트워크 접속 기술을 사용 하여 메쉬 라우터에 연결
  • 메쉬 라우터의 게이트웨이 /브리지 기능들은 다양한 이종 네트워크와의 연동 방안을 제공

 

나 특징

특징
내용
지동망구성
(Self Discovery & Configuration)
- 자가 구성을 통해 매쉬형 토폴로지 상에서 다중경로에 따른 통신 신뢰성 확보 가능
- 소방/재난/군사 등 통신 인프라가 열악/긴급상황시 자동구성으로 유용
자동망 복구
(Self Healing)
- 단일 경로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물리적 절체/트래픽 과부하시 새로운 최적경로 탐색
- 주기적으로 최적의 무선링크를 탐색, 노드별로 처리되는 지연율을 자동 계산
광역 커버리지
- 멀리홀 라우팅을 통한 광역 커버리지 구축으로 더 넓은 커버리지를 확보
- 자동 주파수 선택기능을 통한 주파수 재사용과 저전력 사용
고속 로밍기술
(Fast Roaming)
- Hot-Spot 형태의 무선 서비스는 이동중 끊김, 고정 AP 및 유선연결 필요
- 매쉬 노드에 전원만 공급되면 지하철, 기차 등에서도 서비스 지원 가능
보안기능제공
- IP-Sec, RADIUS/TACAS 등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트래픽 보호

II.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조 및 주요 기술

.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성도

 

 무선 메쉬 네트워크 구성요소

구성요소 상세설명
MPP - MP Portal, Mesh Network 관리
MP - Mesh Point, WLAN Mesh Network 기능만을 갖는 노드
MAP - Mesh Access Point, MP기능과 Internetworking을 위한 GW 기능 제공
STA - Station, 기존의 WLAN 최종 노드

 

 

. 무선 메쉬 네트워크 주요기술

구분
주요기술
종류
물리계층
송수신 기술
MIMO, OFDM, 스마트안테나, STC
변복조 기술
다중 사용자 검출, QP나 QAM Pulse Modulation
채널 코덱
H-ARQ, LDPC
MAC 계층
자원관리/효율증대
스케줄링, 전력제어, 주파수 재사용, 가입자 식별 기술
무선 링크제어 기술
랜덤액세스(CSMA), ARQ, 핸드오버, 멀티/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 계층
망구성기술
네트워크 연결, 망 연동 기술, 망제어기술, NMS
라우팅기술
Multi-Hop 라우팅 기술
응용서비스
응용서비스기술
ID/센싱 기술, LBS, 텔레매틱스 기술, RADIUS/TACAS

 

 

[네트워크 목차]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난통신(배준호)  (1) 2022.09.06
제로 레이팅 (홍진택)  (0) 2022.09.03
MEC (이상희)  (0) 2022.09.03
MQTT (이강욱)  (0) 2022.09.03
NFV (이재용)  (0) 2022.09.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