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전략 목차]

 

BAM (Business Activity Monitoring)

 

1. BAM(Business Activity Monitoring) 개요

1) BAM의 정의

  •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핵심 성괒지표, 데이터 수집 등을 통해서 업무 프로세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2) BAM의 특징

특징 설명
가시성 - 비즈니스 프로세스 상의 가시성
KPI 연계 - 향상된 비즈니스 Metrics 및 Monitoring
Risk management - Monitoring 기능으로 Risk 관리 기능, Alert 기능
IT 자원 활용 극대화 - EAI/BPM 에서 분석 기능 보완
- ETL/BI 에서 실시간 기능과 어플리케이션 통합
- 프로세스 관리 부문을 보완한 솔루션

3) BAM 필요성

  • 프로세스 관리 필요  : 위험요소식별, 프로세스모니터링, 통제
  • 신속한 시장대응  : 외부환경 변화에 실시간 대응 필요
  • 프로세스 평가필요  : 프로세스의 정량적 관리, KPI분석

 

2. BAM(Business Activity Monitoring) 구성 및 기술요소

1) BAM 의 구성

  • 성과관리, 활동분석, 실적관리를 통한 전반적인 비즈니스 활동의 실시간 활동을 가시화

2) BAM의 기술요소

구분 기술 요소 설명
어플리케이션 통합 EAI, B2Bi, eAI 기술 - 주요 어플리케이션 간 통신을 위해 메시지 흐름 관리, 데이터 변환 및 어플리케이션의 통합 기능 제공
BI Reporting Tool, Analysis Tool - 데이터 웨어하우스 및 데이터 마트로 부터 주요 업무성능 지표를 분석해주는 툴 제공
DW OLAP, Data Mining - 이력 및 동향 분석을 통해 향후 적절한 액션 플랜 제공
Infrastructure ECS, NW, Database etc, - 다양한 데이터 소스 수집 및 사호관계 해석을 통한 영향 분석
BPM EAI, SOA, DW - 전체적인 업무 프로세스 흐름에서 비즈니스 이벤트를 분석하여 그 영향을 분석하는 전반적인 업무 프로세스 기반 제공

 

3. BAM(Business Activity Monitoring) 논리구조 및 기능

1) BAM의 논리구조

  • 운영업무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Rule 엔진에 의한 실시간 Action이 가능한 BAM 논리구조

2) BAM의 기능

기능 설명
스코어 카드 - 비즈니스 유닛에 대한 핵심 성과 지표(KPI)
업무 경보(Alerts) - 위협 및 반응이 필요한 상황에 대한 알림
외부 정보 -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
협업 - 상황 해결을 위한 팀과의 협업
프로세스 모니터링 - 핵심 업무 프로세스의 상태 모니터링
리포트 및 분석 - 성과와 과거 정보를 실시간 결합으로 추세를 이해

 

4. BAM(Business Activity Monitoring) 적용 기대 효과

  • BPM 측면  : 프로세스의 정량적 평가를 통한 개선방향 제시
  • BRE 측면  : 비즈니스활동 모니터링, 통제방안 제시
  • SOA 측면  : 서비스 Workflow 관리, 최적화 가능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LM(황선환)  (0) 2022.09.17
ESB(홍진택)  (0) 2022.09.17
POP(Point of Production)(김도현)  (0) 2022.09.12
IT 거버넌스(배준호)  (0) 2022.09.11
TOC(Theory of Constraints)(이강욱)  (0) 2022.09.10

[경영전략 목차]

 

1. 생산공정 진행현황 실시간 모니터링, POP(Point of Production) 개념

- 생산시점관리 시스템으로서 생산계획 및 작업지시에 따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생산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생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집계, 분석,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

- 특징) 실적위주의 관리 시스템, 생산정보 실시간 가시화, 생산시스템 실시간 파악, 공정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

 

2. POP 아키텍쳐 및 주요기능

1) POP 아키텍쳐

- 생산진행시점에 관리용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 및 처리하여 생산/원가/품질/설비관리등에 피드백하는것이 목적

 

 2) POP 주요기능

구분 주요기능 설명
생산 관리 생산 진척도 파악 생산 진도 상황 및 가동 상황 파악
생산률 조정 공정 재공, 원자재/완재품 수량 파악통한 생산률 조정
원가 관리 실적 실시간 파악 원재료 사용량 및 기계 설비 가동 시간 관리
개별 원가 관리 공수 관리 (교체공수, 부가가치 공수 LOT별)
품질 관리 불량률 분석 및 제거 생산 중 반제품 집계 불량 분석
수입 및 공정 검사 불량 원인 공정 또는 설비 검사
설비 관리 설비 현황 파악 설비 가동/비가동 현황 파악 및 분석
설비고장 내역관리 설비 생산능력 저해요인 분석 및 제거

- POP는 현재 생산진행 현황에 대한 생산시점정보 관리하고, MES는 자재입고부터 최종제품 생산까지 전체공정 관리 

 

3. POP과 MES 비교

구분 POP MES
정의 생산과정에서 기계, 설비, 작업자, 작업에서 발생하는 생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처리, 제공하는 시스템 자재입고부터 최종제품 생산까지의 전체의 공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며 생산의 결과에 따른 제어 등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목적 실적관리 위주 시스템 계획/자원 할당 위주 시스템
도입 효과 제조 사이클 시간 단축 공정상의 불필요한 요소 개선
특징 실시간 통제 가능 예측생산을 통한 납기준수

 - POP과 MES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한 기본 인프라로써 제조/생산기업은 POP, MES구축 및 운영 필요.

 - 현재 POP의 주요기능은 MES에 기능에 포함되어, POP을 설비제어 및 실시간 감시의 미들웨어 개념으로 보기도 함.

   

 

참조 : http://www.kancode.com/solution/pop.php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B(홍진택)  (0) 2022.09.17
BAM(안혜진)  (0) 2022.09.17
IT 거버넌스(배준호)  (0) 2022.09.11
TOC(Theory of Constraints)(이강욱)  (0) 2022.09.10
ESG 경영(김지웅)  (2) 2022.09.10

[경영전략 목차]

 

1. 지속가능경영의 핵심체계, IT거버넌스의 개요

 - 기업의 전략과 목표에 부합하도록 IT 자원과 프로세스를 관리 및 통제하는 체계

 - (구성요소) 리더십, 조직구조, 프로세스

 

2. IT 거버넌스 5가지 구성 도메인 및 주요요소

 1) IT 거버넌스 5가지 구성 도메인(전가위자성)

- 미국 IT거버넌스협회(ITGI)에서 정의한 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2) IT거버넌스 도메인별 주요요소

도메인 주요요소 설명
전략적연계 EA 기업의 전략적인 목표 도달 위한 IT와 비즈니스의 관계설명 청사진
ISP 정보시스템 구축에 대한 상황의 인식과 목표를 설정하고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정보화 전략을 수립하는 활동
가치전달 ERP 기업의 전사적 자원 관리
SCM 제품생산에서 유통에 이르는 전체 프로세스에 걸쳐 협력업체와의 정보공유, 협업 등을 통해 재고관리 등 공급망 의사결정에 있어 최적화를 추구하는 경영기법
위험관리 BCP 각종 재해, 장애 재난으로부터 위기관리를 기반으로 재해복구, 업무복구 및 재개, 비상 계획 등의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하는 체계
DRS 정보시스템에 대한 비상 대비체제 유지와 각 업무 조직별 비상사태에 대비한 복구계획 수립을 통해 업무 연속성 유지할 수 있는 체계
자원관리 ITSM ITIL 기반으로로 IT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조직/인력/기술 부분을 포함한 표준 운영체계
성과측정 BSC 조직의 비전과 전략목표 실현을 위해 4가지 관점의 성과지표를 도출하여 성과를 관리하는 성과관리 방법론
IT-ROI IT가 목표 달성에 경제적으로 얼마나 공헌하고 있는가를 사업 관점에서 체계적으 로 조사하고 분석하는 모델

 

3. IT거버넌스 구축 절차

절차 설명
프로세스 및 통제 체제 설계 - 외부 감독기관의 검사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
- COBIT(국제표준) 활용
통제 대상 식별 - 기업특성 및 IT 부분의 특성 식별
- 위험관리 항목 및 IT 자원의 프로세스 식별
통제지침, 절차수립 - 각 프로세스의 통제목적을 충족하도록 수립
- 프로세스별 수행지침 및 운영 매뉴얼 수립
최종 산출물 및 Master Plan 수립 - IT 거버넌스 체제의 영속성 보장 위한 절차 포함
- IT 프로세스 및 통제체제 구축 및 운영

- IT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프레임워크로 COBIT을 주로 활용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M(안혜진)  (0) 2022.09.17
POP(Point of Production)(김도현)  (0) 2022.09.12
TOC(Theory of Constraints)(이강욱)  (0) 2022.09.10
ESG 경영(김지웅)  (2) 2022.09.10
IT 생산성 패러독스(이재용)  (0) 2022.09.10

[경영전략 목차]



1. TOC (Theory of Constraints) 개요
1) 개념
- 조직목표 달성을 저해하는 제약 조건을 찾고, 통제하여 전체 최적화를 달성하는 상식적인 의사결졍 지원 경영과학 이론
2) 특징
- 전체 최적화, 제약사항 고려, 집중 개선

2. TOC 극복방안

제약 극복방안 설명
물리적 제약 DBR (Drum-Buffer-Rope) 시스템 제약 자원의 소비속도(Drum)에 다른 모든 자원의 소비속도를 맞추고, 원자재의 투입은 Drum에 맞추어 동기화(Rope) 시키ㄱ, 제약자원의 보호를 위한 예비자원(Buffer)를 운용
정책적 제약 TOC Thinking 정책적 제약을 찾아내고 그 제약요인에 변화를 일으키고, 실행으로 옮기는 계통적인 수법
프로젝트 관리 Critical Chain 기존의 CP 개념이 아닌 제약자원 관점에서 Buffer를 사용하는 CC  적용
회계 관리 Throughput Accounting 전사적인 TOC 성과 측정 지표 

3. TOC의 문제 해결 절차

단계 문제 해결 절차 설명
1단계 제약 요인 찾기 시스템의 제약 요인 찾기
2단계 방법 모색 제약요인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방법 결정
3단계 결정 종속 위의 결정에 다른 모든 것을 종속
4단계 요인 향상 시스템의 제약요인을 향상
5단계 반복 제약요인이 더이상 시스템의 성과를 제약하지  않게 되면 1단계 반복

- "무엇을, 무엇으로, 어떻게" 관점의 집중개선 프로세스로 전체 최적화 달성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P(Point of Production)(김도현)  (0) 2022.09.12
IT 거버넌스(배준호)  (0) 2022.09.11
ESG 경영(김지웅)  (2) 2022.09.10
IT 생산성 패러독스(이재용)  (0) 2022.09.10
IT 아웃소싱(이상희)  (0) 2022.09.10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거버넌스(배준호)  (0) 2022.09.11
TOC(Theory of Constraints)(이강욱)  (0) 2022.09.10
IT 생산성 패러독스(이재용)  (0) 2022.09.10
IT 아웃소싱(이상희)  (0) 2022.09.10
ITIL(문경숙)  (0) 2022.09.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