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M (Business Activity Monitoring)
1. BAM(Business Activity Monitoring) 개요
1) BAM의 정의
-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핵심 성괒지표, 데이터 수집 등을 통해서 업무 프로세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2) BAM의 특징
특징 | 설명 |
가시성 | - 비즈니스 프로세스 상의 가시성 |
KPI 연계 | - 향상된 비즈니스 Metrics 및 Monitoring |
Risk management | - Monitoring 기능으로 Risk 관리 기능, Alert 기능 |
IT 자원 활용 극대화 | - EAI/BPM 에서 분석 기능 보완 - ETL/BI 에서 실시간 기능과 어플리케이션 통합 - 프로세스 관리 부문을 보완한 솔루션 |
3) BAM 필요성
- 프로세스 관리 필요 : 위험요소식별, 프로세스모니터링, 통제
- 신속한 시장대응 : 외부환경 변화에 실시간 대응 필요
- 프로세스 평가필요 : 프로세스의 정량적 관리, KPI분석
2. BAM(Business Activity Monitoring) 구성 및 기술요소
1) BAM 의 구성
- 성과관리, 활동분석, 실적관리를 통한 전반적인 비즈니스 활동의 실시간 활동을 가시화
2) BAM의 기술요소
구분 | 기술 요소 | 설명 |
어플리케이션 통합 | EAI, B2Bi, eAI 기술 | - 주요 어플리케이션 간 통신을 위해 메시지 흐름 관리, 데이터 변환 및 어플리케이션의 통합 기능 제공 |
BI | Reporting Tool, Analysis Tool | - 데이터 웨어하우스 및 데이터 마트로 부터 주요 업무성능 지표를 분석해주는 툴 제공 |
DW | OLAP, Data Mining | - 이력 및 동향 분석을 통해 향후 적절한 액션 플랜 제공 |
Infrastructure | ECS, NW, Database etc, | - 다양한 데이터 소스 수집 및 사호관계 해석을 통한 영향 분석 |
BPM | EAI, SOA, DW | - 전체적인 업무 프로세스 흐름에서 비즈니스 이벤트를 분석하여 그 영향을 분석하는 전반적인 업무 프로세스 기반 제공 |
3. BAM(Business Activity Monitoring) 논리구조 및 기능
1) BAM의 논리구조
- 운영업무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Rule 엔진에 의한 실시간 Action이 가능한 BAM 논리구조
2) BAM의 기능
기능 | 설명 |
스코어 카드 | - 비즈니스 유닛에 대한 핵심 성과 지표(KPI) |
업무 경보(Alerts) | - 위협 및 반응이 필요한 상황에 대한 알림 |
외부 정보 | -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 |
협업 | - 상황 해결을 위한 팀과의 협업 |
프로세스 모니터링 | - 핵심 업무 프로세스의 상태 모니터링 |
리포트 및 분석 | - 성과와 과거 정보를 실시간 결합으로 추세를 이해 |
4. BAM(Business Activity Monitoring) 적용 기대 효과
- BPM 측면 : 프로세스의 정량적 평가를 통한 개선방향 제시
- BRE 측면 : 비즈니스활동 모니터링, 통제방안 제시
- SOA 측면 : 서비스 Workflow 관리, 최적화 가능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LM(황선환) (0) | 2022.09.17 |
---|---|
ESB(홍진택) (0) | 2022.09.17 |
POP(Point of Production)(김도현) (0) | 2022.09.12 |
IT 거버넌스(배준호) (0) | 2022.09.11 |
TOC(Theory of Constraints)(이강욱) (0) | 202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