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공 목차]
1.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개요
- 개발에 대한 조직의 능력 및 성숙도에 대한 평가와 프로세스 개선 활동에 광범위한 적용성을 제공하는 지속적인 품질 개선 평가 모델(산업계 표준, De-facto Standard)
- SEI에서 만든 조직 성숙도 평가 모델로, 기존에 여러개로 나누어진 CMM을 통합한 모델(v1.0~2.0)
등장배경
- CMM 모델간 상호 중첩과 구조의 상이함으로 인해 현장에 적용하기 어려움
- 각각의 모델 적용에 따른 중복 투자로 비용의 과다 지출 등의 문제점 발생
- ISO/IEC에서 CMM이 아닌 유럽의 SPICE를 국제 표준으로 제정함에 따라 이에 대응
2. CMMi 구성도 및 구성요소
1) CMMi 구성도
2) CMMI 구성요소
구성요소 | 세부항목 | 설명 |
Model | Views | 최종 사용자에게 선택되고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구성요소의 집합 |
Categories for Capability Area | 솔루션을 생성하거나 비즈니스가 직면한 보편적 문제를 다루는 논리적 그룹 | |
Capability Areas(CA) | 해당 Practice Area에 설명된 의도, 가치를 달성할 수 있는 유사성 묶음 | |
Practice Area(PA) | Required/Explanatory PA Information Practice Group | 정의된 목적 및 가치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주요 활동을 설명하는 일련의 Practice들의 집합 |
Practice Group(PG) | Level1, Level2, ... | Practice Area 내에서 레벨 1, 2 등으로 표시된 일련의 진화적 수준으로 구성되어 성과 향상을 위한 경로 제공 |
Practices | 수행목표, 설명, 가치 사례 | 목표 충족을 위한 구체적인 활동 |
3. Capability Area 4개 범주
Capability Category (Model) |
설명 | Capability Area | Practice Area (Level, Practices) |
Doing | 품질 솔루션 생산 및 제공 | · Ensuring Quality · Engineering and Developing Product · Delivering and Managing Services · Delivering and Managing Supplier |
7개 |
Managing | 솔루션 이행을 계획하고 관리 | · Planning and Managing Work · Managing Business Resilience · Managing the Workforce |
5개 |
Enabling | 솔루션 이행 및 제공을 지원 | · Supporting Implementation · Safety · Security |
3개 |
Improving | 성과 향상과 유지 | · Improving Performance · Building and Sustaining Capability |
5개 |
· Capability Area 하위에 20개의 PA 할당
4. CMMi 성숙도 레벨
1) CMM2 Practice Level
Level | Practice | Performance Objective |
Level 5 | Optimizing (최적화) | 성과 최적화 |
Level 4 | Quantitatively Managed (정량적관리) | 성과 예측 및 개선 |
Level 3 | Defined (정의) | 조직 성과 초점 |
Level 2 | Managed (관리) | 프로젝트 성과 초점 |
Level 1 | Initial (초기화) | 성과 이슈 집중 |
Level 0 | Incomplete | 성과 미고려 |
2) CMMi 성숙도 수준별 PA
5. CMMi 2가지 표현 방법
구분 | Continuous | Staged |
설명 | 조직의 비즈니스 목적 충족을 위한 개선 사항 제시 Capability Level을 이용 하여 프로세스 영역(PA) 별로 성숙도 평가 가능 |
수준별 프로세스를 제시 조직 간 비교를 가능하게 하는 단일한 등급 체계 제공 |
특징 | 능력 수준을 프로세스에 적용 프로세스 영역의 능력수준을 결정하므로 프로세스 개선에 유연한 접근 방식 우선 순위 기준 능력수준 개선 가능 |
성숙도 수준으로 조직간 비교 모델단일 등급체계 평가 결과이므로 이해하기 쉬운 프로세스 개선 결과 제시 입증 순서로 개선 활동 제공 |
레벨구분 | Capability Level | Maturity Level |
성숙도 | 0 ~ 5 단계 (총 6단계) | 1 ~ 5 단계 (총 5단계) |
예제 | SE-CMM(연속적 표현) | SW-CMM(단계적 표현) |
6. CMMi 1.3 vs. CMMi 2.0
구분 | CMMi v1.3 | CMMi v2.0 |
구조 | · Specific Goal · Generic Goal |
· Practice Group · Practices |
PA 구성 | · 22 Process Area | · 20 Practice Area |
유지 심사 | · 없음 | · 2년에 1번 |
모델 | · CMMi-DEV · CMMi-SVC · CMMi-ACQ |
· CMMI-DEV (Development) · CMMI-SVC (Service) · CMMI-SPM (Supplier Mgmt) · CMMI-PPL (People) · Core Practice Area |
신규 개념 | · 4 Capability Category, 12 Capability Area로 PA 그룹화 |
* IT위키 인용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시성 제어(안혜진 선임님) (0) | 2022.10.22 |
---|---|
데이터 회복(배준호 대리님) (0) | 2022.10.22 |
소프트웨어 안전성 분석(문경숙 수석님) (0) | 2022.10.15 |
ISO 25000(황선환 이사님) (0) | 2022.10.15 |
Class, Method 구현방법(이강욱 선임님) (0) | 2022.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