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공 목차]
프로젝트 범위 관리(Project Scope Management)
1. 단계별 작업활동의 관리, 프로젝트 범위관리의 개요
1) 프로젝트 범위관리 정의
![]() |
- 프로젝트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프로젝트 범위를 결정하고, 각 단계별 작업활동을 구체화하는 프로세스 -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프로젝트에 필요한 모든 작업을 명시하여 포함하고 관리하는 프로세스 관리 과정 - (특징) 절차 정의 및 범위 확정, WBS, 관리영역 영향 |
- 인도물 관점 또는 프로젝트 작업 관점에서 프로젝트가 산출해야 할 요소들을 통칭하며 제품 범위와 프로젝트 범위로 구분
2) 프로젝트 범위관리의 필요성
-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활동이나 산출물을 누락이나 중복 없이 관리
- 통제되지 않은 범위 정의와 범위 변경으로 인한 프로젝트 생산성과 효율성 저하를 방지
- 프로젝트 완수에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제품, 서비스, 산출물 등을 생성하는 골드 플레이팅을 방지
- 프로젝트 일정, 원가, 품질, 위험, 조달 관리의 근간을 이루는 범위 관리는 프로젝트에 필수 요소
2. 프로젝트 범위관리 프로세스 및 활동
1) 프로젝트 범위관리 프로세스
- 프로젝트 관리 계획 실현가능성과 구체성은 범위에 따라 결정
2) 프로젝트 범위관리 단계별 활동
단계 | 활동 | 산출물 |
① 범위관리 계획 수립 | - 프로젝트 범위의 정의 및 검증, 통제하는 방법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범위관리계획서를 작성하는 프로세스 | 범위관리 계획서 요구사항관리 계획서 |
② 요구사항 수집 | - 이해관계자들이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문서화하는 프로세스 | 요구사항 문서 요구사항추적매트릭스 |
③ 범위 정의 | - 프로젝트와 제품에 대한 내역 및 요건 등 상세 범위 기술서를 개발하여 프로젝트 범위를 정의하는 프로세스 | 범위기술서 |
④ WBS 작성 | - 프로젝트 인도물과 업무를 작고 관리 가능한 컴포넌트로 세분화하는 프로세스 - 작업 분류 체계를 작성하기 위한 활동 |
WBS |
⑤ 범위 확인 | - 완료된 프로젝트 인도물의 인수를 공식화하는 프로세스 | 수용된 인도물 |
⑥ 범위 통제 | - 프로젝트 상태와 제품 범위를 모니터링하고 범위 기준선의 변경을 관리하는 프로세스 | 작업 성과 정보 프로젝트 문서 갱신 |
- 프로젝트 범위 관리 시 먼 미래는 예측하기 어려우므로 가까운 미래부터 세부적으로 관리하는 연동 계획 적용
3. 프로젝트 범위 통제의 위험요소
구분 | Scope Creep (범위 끼어들기) | Gold Plating (금 도금) |
정의 | 통제되지 않는 변경 | 고갹의 요구를 넘는 과도한 품질향상 작업 |
현상 | 범위의 과도한 증가 | 일정 지연 및 범위의 증가 |
예방 | WBS는 PM을 통해서만 변경 수행 | 품질 관리와 인력관리 활동 강화 |
위험 | 변경 제어 시스템으로 관리 | 고객의 기대 수준이 Gold Plating에 맞춰짐 |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평가(김지웅 대리님) (1) | 2022.10.15 |
---|---|
PMO(이재용 부장님) (0) | 2022.10.15 |
function point(배준호 대리님) (0) | 2022.10.10 |
무중단 배포(유준수 사장님) (0) | 2022.10.08 |
모듈화(황선환 이사님) (0) | 2022.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