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회 관리 기출목차]

 

문제 1-3

POP(Point Of Productio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생산시점 정보 관리 POP(Point Of Production)의 개요
1) POP 정의

  • 공장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처리하여 관리자 혹은 상위 시스템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
  • 생산정보화의 관점에서 생산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들을 시점별로 수집해서 분석하여 변화된 상황에 적절한 대응을 가능케하는 시스템

2) POP 키워드

키워드 설명
실시간 모니터링 제조 현황 실시간 모니터링(기계, 설비, 가공대상물, 작업자)
페이퍼리스 제조 현장의 Paperless화 실현 및 수작업 최소화
현장관리자 지원 현장관리자 실시간 생산정보 제공 의사판단 지원
제조 사이클 향상 생산, 원가, 품질, 설비 관리를 통한 제조 회전율 향상


2. POP 계층별 구성 및 4대 관리기능
1) POP 계층별 구성

2) POP 4대 관리 기능

영역 관리기능 설명
생산관리 공정계획 공정계획의 작성과 변경
작업지시 단위 작업지시
진도관리 생산진도 상황 파악, 가동상황 파악, 생산실적 수집
제품 재공관리 원재료 재고, 재공품 재고, 제품재고 수량 파악, 생산능력 조정
원가관리 공수관리 공수(작업 공수, 교체 공수, 부가가치 공수) 관리
원가관리 원재료 사용량, 기계설비의 가동시간, 에너지 소비량
품질관리 수율관리 생산중 반제품 집계, 불량 분석
검사관리 가동이력 정보에서 불량원인 공정, 기계 파악
품질관리 수율향상, 불량 대책 마련
설비관리 가동관리 기계 설비 용량 및 가동관리
설비진단 상태보전, 설비진단

-POP을 이용한 제조 간접비 감소로 제3의 이익(관리이익, 은폐이익) 실현

3. POP 정보 수집

유형 발생원(Source) 수집정보
Auto 기계 투입재료의 개수와 길이, 생산수량과 불량수량, 동작회수, 가동시간과 불가동시간, 처리시간, 고장시간, 고장내용 등
설비 운전상태, 이상상태, 노화상태, 동작주기, 원료사용량, 에너지 소비량, 사용이력 등
가공대상물 품목정보와 가공대상물 위치, 재고수나 공정 진도, 대상물의 형상, 특성, 성능 등
Manual 작업자 작업중 정보, 작업내용, 공정준비, 트러블, 휴지, 관능검사 판정 정보 등

- CIM시대의 POP SYSTEM(야마구치도시유카) 발췌

4. POP 과 MES 비교

구분 POP(Point Of Production)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개념 생산 계획에 따른 진행 현황에 대한 현황 정보 파악
"눈으로 보는 현장 관리"
자재 입고부터 최종 제품 생산가지 전체의 공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생산의 결과를 관리하는 통합생산정보관리 시스템
주요관리 실적 관리 위주 계획/자원 할당 위주
제어능력 모니터링(낮은 제어 능력)기반 높은 제어능력
적용분야 조립생산 분야 일반생산, 장치생산, 장치 및 조립생산 분야
스케줄링 사용자 수행 설비/물류이동 스케줄링
관심분야 관리분야 4개 (생산, 물류, 품질, 설비관리) 국제 표준 마련
지원대상 현장관리자 경영자 , 운영자
근원국가 일본 기반 미국 기반
고려사항 확장 및 신규 설비 대응 능력 부족
지속적 유지보수로 비용 상승
POP 대비 높은 확정성 및 설비 대응능력
높은 수준의 자동화

-일반적으로 MES는 POP의 확장 보완된 형태

[128회 관리 기출목차]

 

문제 1-1

WBS(Work Breakdown Structure)에 대해 설명하시오.


1. 인도물 중심 분할계층 체계 WBS(Work Breakdown Structure) 개요

  • 프로젝트 팀이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인도물을 산출하기 위해 실행하는 작업을 인도물 중심의 계층 구조로 세분해 놓은 체계
  • 일정과 원가계획을 수립하고 통제하는 기본 단위로 위험식별을 위한 기준 제공

특징

구분 설명
산출물 중심 활동(Activity)중심이 아닌 산출물을 생산하기 위한 작업(Work)중심으로 작성
의사소통 도구 이해 당사자(Stakeholder)간의 의사소통에 표준제시
세분화 업무 단위 세분화 및 R&R(Role & Responsibility) 확립
진척 관리 프로젝트의 진행상황 및 향후일정 및 비용을 예상 가능케 함
선후 관계 정의 WBS별 선후 및 의존성 연관관계의 파악이 가능하며 영역 정의 가능


2. WBS 체계도 및 구성요소
1) WBS 체계도

WBS 체계도

2) WBS 구성요소

구성 요소 설명
WORK 분류 Work Package 측정 및 관리 가능한 WBS 최하위 작업 구성
Control Account 통제계정
작업패키지 모음으로 각 작업 패키지는 한 개의 통제계정에 연결됨
Planning Packages 작업이 시작 및 관리되지 않는 계획중인 패키지
WBS 속성 Code of Account 작업분류코드
WBS 요소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고유 식별자
WBS Dictionary 작업분류체계사전
작업 패키지별로 작업 내용, 자원 요구사항, 일정, 원가 등 세부 정보
RAM (Responsibility Assignment Matrix) 각 할당자의 Phase 별 승인과 R(Review), 품질검토자, I(Input), 투입물 책임자, P(Participant)등의 기초

- WBS 구성체계는 분할수준(단계)은 통상적으로 4단계 수준으로 분할하나 프로젝트 규모에 임의 조정 가능

3. WBS 설계원칙 및 작성유형
1) WBS 설계 원칙

설계규칙 설명
100% 규칙 WBS는 프로젝트의 모든 작업이 MECE 하게 표현되어야 함
최하위 작업이 상위 작업에 빠짐없이 연동되어야 함
2Week/80H WBS의 하위 작업은 2주, 80시간 이내에 수행 가능한 수준으로 설정

- WBS가 “What”을 정의하는 것이라면 Activity는 “How”를 정의
2) WBS 작성 유형

유형 설명
하향식 WBS (Top-down WBS) 프로젝트의 전체 범위를 구성하고, 하위수준으로 내려가면서 세부 작업에 대해 상세하게 정의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WBS 도출이 용이하지만, 세부 작업이 누락될 수 있음
상향식 WBS (Bottom-up WBS) 세부 작업을 먼저 작성한 후 이를 모아 상위 단계 정의
세부 작업을 빠뜨림 없이 포함시킬 수 있지만, 사전에 정의가 어려울 수 있음

-  대상 프로젝트에 적합하도록 WBS 설계원칙과 작성유형을 선정하고 관리 가능한 적정한 분할주준 결정

[Site Map]

 

제128회 정보관리기술사 문제지.pdf
0.28MB



1교시

  1. 이상희(ㅇ)                   WBS(Work Breakdown Structur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해설집, 티스토리(ㅇ)  IT-ROI 투자 성과평가 모델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이상희(ㅇ)                    POP(Point Of Productio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 이상희(ㅇ)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모델링(Modeling)과 모델옵스(ModelOps)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김정옥(ㅇ)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품질비용 항목 4 가지를 제시하고, 각 항목별로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6. 이상희(ㅇ)             NoSQL의 3 가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 배준호(ㅇ)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평가모델 중 CBAM(Cost Benefit Analysis Method)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8. 해설집 참고           빅데이터 분석에서 상관관계(Correlation)와 인과관계(Causation)에 대하여 비교 하여 설명하시오
  9. 손기봉(ㅇ)             뉴로모픽 칩(Neuromorphic Chip)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0. 해설집 참고           개인정보의 가명 익명처리 기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1. 손선희(ㅇ)             메모리 인터리빙(Memory Interleav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2. 안혜진(ㅇ)             랜섬웨어(Ransomware)와 Raas(Ransomeware as a servic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3. 손선희(ㅇ)             큐비트(Qubi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교시

  1. 이상희(ㅇ)  
  2. 김정옥(ㅇ)
  3. 배준호(ㅇ)
  4. 손기봉(ㅇ)
  5. 손선희(ㅇ)
  6. 안혜진(ㅇ)

1.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학습용 데이터 품질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v2.0(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발표 되었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에 대한 아래 사항을 설명하시오.

가.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개념 및 필요성

나.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모델, 품질관리 단계별 수행방안

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지표

 

2. 공공부문에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운영하고자 한다. 다음 사항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서비스 활용 절차에 따른 주요 태스크와 클라우드의 기본설계과정

나. 클라우드의 4가지 활용구조 및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CSAP) 절차

다. 클라우드 서비스유형(SaaS/PaaS/IaaS) 및 유형별 평가기준

 

3. 코로나 19로 인한 중국 물류수급 문제 및 반도체 대란에 따른 전체 산업분야에서 재고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급망관리(SCM)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공급망관리(SCM)의 개념과 중요성 대두 배경

나. 수요 예측의 7단계 및 수요 예측 기법

다. 안전재고 및 적정 재고 산정방법

 

4. 개정된 ‘데이터 3법’이 국회를 통과한 후에 데이터를 활용한 클라우드, IoT등 여러 산업 군에서의 혁신과 신사업 개발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핵심 자원인 데이터를 좀 더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3법’과 마이데이터사업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단, ‘데이터 3법’은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신용정보법을 통칭함)

가. ‘데이터 3법’ 개정 배경과 주요 개정내내용

나. 마이데이터 사업의 개념 및 산업별 주요 제공정보 범위

다. 마이데이터 사업의 활성화 방안

 

5. 디지털 혁신을 위한 고려사항과 CoE(Center of Excellence)의 역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6. 귀납적 사고(Inductive Reasoning)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교시

  1. 이상희(ㅇ)
  2. 손기봉(ㅇ)
  3. 김정옥(ㅇ)
  4. 배준호(ㅇ)
  5. 안혜진(ㅇ)
  6. 배준호(ㅇ)

1. 소프트웨어 모듈(Module)과 관련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소프트웨어 모듈의 응집도와 결합도

나. 소프트웨어 모듈의 fan-in과 fan-out

 

2. 최근에는 웹기반 서비스의 증가와 모바일 퍼스트(Mobile First)에 따른 웹기반 서비스의 성능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가. 웹 성능저하 요인

나. 프론트-엔드 관점에서의 웹 최적화 방안 6가지

 

3. 최근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안전(Safety)이 중요시되면서 다양한 위험분석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전통적 위험분석 기법인 FMEA(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HAZOP(Hazard and Operability Analysis)의 특징 및 한계점

나. STPA(System Theoretic Process Analysis) 개념 및 위험분석 방법

 

4. 공공소프트웨어 사업의 계획단계에서 사업의 확정 및 사업 기간의 적정성 평가를 위한 검토항목과 사업수행 중 과업 변경에 대한 적정성 판단 평가 기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5. 데이터 통합 및 마이그레이션 프로젝트에서 데이터 무결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들의 정합성을 확보하고 신뢰도를 높이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다음의 내용을 설명하시오.

가. 데이터 무결성(Integrity)과 정합성(Consistency)의 차이

나. 데이터 값(Value) 진단 프로파일링(Data Profiling)의 중점 분석 관점

다.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검증 테스트 방법

 

6.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분산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학습 모델인 연합학습(Federated Learning)에 대하여 아래 사항을 설명하시오.

가. 연합학습의 동작 원리

나. 연합학습의 주요 알고리즘

다. 연합학습의 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장형 기술


4교시

  1. 배준호(ㅇ)
  2. 안혜진(ㅇ)
  3. 김정옥(ㅇ)
  4. 손선희(ㅇ)
  5. 손기봉(ㅇ)
  6. 배준호(ㅇ)

1. 최근 NFT(Non-Fungible Token) 시장의 활성화 및 생태계 형성의 견인차인 NFT마켓 플레이스가 해커들의 주요 타겟이 되고 있다. 대형 거래소인 Opensea의 보안 침해사례를 기반으로 NFT 특성과 마켓 플레이스에서의 보안 취약점을 설명하시오.

2. 웹서버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리버스 프록시(Reverse Proxy)의 개념, 동작원리, 설정방법

나. DDoS 사이버대피소

 

3. 6G 이동통신을 위한 위성-상공-지상 통합형 무선 네트워크(Satellite-Aerial-Terrestrial Integrated Network, SATIN)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SATIN의 개념 및 네트워크 특징

나. SATIN의 재난대비, UAV(Unmanned Aerial Vehcle) 활용, 낙후지역 네트워크 서비스에 활용방법

 

4. 최근 정보통신의 발전으로 인해 도감청이 불가능한 양자암호통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양자암호통신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양자암호통신의 암호키 분배방식

나. 양자암호통신의 주요기술

다. 양자암호통신의 취약점

 

5. 데이터베이스의 병행제어(Concurrency Control )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병행제어의 정의

나. 병행제어의 기법의 종류

다. 병행제어의 문제점

 

6. 식별(Identification)과 인증(Authentication)에 대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

가. 개인 식별과 사용자 인증의 정의 및 차이점

나. 사용자 인증 시 보안 요구 사항

다. 인증 방식에 따른 4가지 유형 및 유형별 특징

 

ITPE 제128회 기출문제 해설집_정보관리_1교시.pdf
1.77MB
ITPE 제128회 기출문제 해설집_정보관리_2교시.pdf
1.33MB
ITPE 제128회 기출문제 해설집_정보관리_3교시.pdf
1.38MB
ITPE 제128회 기출문제 해설집_정보관리_4교시.pdf
1.07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