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1-3
POP(Point Of Productio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생산시점 정보 관리 POP(Point Of Production)의 개요
1) POP 정의
- 공장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산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처리하여 관리자 혹은 상위 시스템에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
- 생산정보화의 관점에서 생산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들을 시점별로 수집해서 분석하여 변화된 상황에 적절한 대응을 가능케하는 시스템
2) POP 키워드
키워드 | 설명 |
실시간 모니터링 | 제조 현황 실시간 모니터링(기계, 설비, 가공대상물, 작업자) |
페이퍼리스 | 제조 현장의 Paperless화 실현 및 수작업 최소화 |
현장관리자 지원 | 현장관리자 실시간 생산정보 제공 의사판단 지원 |
제조 사이클 향상 | 생산, 원가, 품질, 설비 관리를 통한 제조 회전율 향상 |
2. POP 계층별 구성 및 4대 관리기능
1) POP 계층별 구성
2) POP 4대 관리 기능
영역 | 관리기능 | 설명 |
생산관리 | 공정계획 | 공정계획의 작성과 변경 |
작업지시 | 단위 작업지시 | |
진도관리 | 생산진도 상황 파악, 가동상황 파악, 생산실적 수집 | |
제품 재공관리 | 원재료 재고, 재공품 재고, 제품재고 수량 파악, 생산능력 조정 | |
원가관리 | 공수관리 | 공수(작업 공수, 교체 공수, 부가가치 공수) 관리 |
원가관리 | 원재료 사용량, 기계설비의 가동시간, 에너지 소비량 | |
품질관리 | 수율관리 | 생산중 반제품 집계, 불량 분석 |
검사관리 | 가동이력 정보에서 불량원인 공정, 기계 파악 | |
품질관리 | 수율향상, 불량 대책 마련 | |
설비관리 | 가동관리 | 기계 설비 용량 및 가동관리 |
설비진단 | 상태보전, 설비진단 |
-POP을 이용한 제조 간접비 감소로 제3의 이익(관리이익, 은폐이익) 실현
3. POP 정보 수집
유형 | 발생원(Source) | 수집정보 |
Auto | 기계 | 투입재료의 개수와 길이, 생산수량과 불량수량, 동작회수, 가동시간과 불가동시간, 처리시간, 고장시간, 고장내용 등 |
설비 | 운전상태, 이상상태, 노화상태, 동작주기, 원료사용량, 에너지 소비량, 사용이력 등 | |
가공대상물 | 품목정보와 가공대상물 위치, 재고수나 공정 진도, 대상물의 형상, 특성, 성능 등 | |
Manual | 작업자 | 작업중 정보, 작업내용, 공정준비, 트러블, 휴지, 관능검사 판정 정보 등 |
- CIM시대의 POP SYSTEM(야마구치도시유카) 발췌
4. POP 과 MES 비교
구분 | POP(Point Of Production) |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
개념 | 생산 계획에 따른 진행 현황에 대한 현황 정보 파악 "눈으로 보는 현장 관리" |
자재 입고부터 최종 제품 생산가지 전체의 공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생산의 결과를 관리하는 통합생산정보관리 시스템 |
주요관리 | 실적 관리 위주 | 계획/자원 할당 위주 |
제어능력 | 모니터링(낮은 제어 능력)기반 | 높은 제어능력 |
적용분야 | 조립생산 분야 | 일반생산, 장치생산, 장치 및 조립생산 분야 |
스케줄링 | 사용자 수행 | 설비/물류이동 스케줄링 |
관심분야 | 관리분야 4개 (생산, 물류, 품질, 설비관리) | 국제 표준 마련 |
지원대상 | 현장관리자 | 경영자 , 운영자 |
근원국가 | 일본 기반 | 미국 기반 |
고려사항 | 확장 및 신규 설비 대응 능력 부족 지속적 유지보수로 비용 상승 |
POP 대비 높은 확정성 및 설비 대응능력 높은 수준의 자동화 |
-일반적으로 MES는 POP의 확장 보완된 형태
'기출문제 > 메타반 기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28회 관리 2교시 5번(손선희) (0) | 2022.07.04 |
---|---|
제128회 관리 1교시 13번(손선희) (0) | 2022.07.04 |
제128회 관리 1교시 6번 (이상희) (0) | 2022.07.04 |
제128회 관리 1교시 4번 (0) | 2022.07.04 |
제128회 관리 1교시 1번(이상희) (0) | 2022.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