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목차]
[하위]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알고리즘
[연관] 네이글 알고리즘(Nagle's Algorithm)
1. 수신을 고려한 송신 패킷 제어, 흐름제어의 개요
개념
- 수신 한도를 넘는 과잉 패킷 발송 방지를 통해 패킷의 전송량을 조절하는 전송속도 제어 기법
- 데이터 패킷 전송시 패킷 손실 및 과도 수신 방지를 위한 데이터 패킷 조절 기술
흐름제어 필요성
- 프레임 손실 방지 : 수신자의 여유 버퍼 크기만큼만 전송
- 속도 조절(Pacing) : 수신측에서 송신측에게 데이터 양과 속도 전달(송신, 수신의 속도 일치화)
- 자원한계 : 수신측의 처리 속도와 메모리 한계 존재
2. 흐름제어 기법 유형
- 이외 전송률 기반 흐름제어(Rate-Based) 방식 존재, 송신 전송률 지정하여 초과되지 안도록 제어, 스트리밍,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전달에 사용
(1) Stop and Wait
- 개념 : 데이터 전송 후 수신측의 ACK 확인 후 다음 데이터 전송 기법
- 특징 : ACK, NAK, 단순하나 전송 효율 저하
- 절차 : 1개 프레임 전송 -> 수신측 에러 판단 -> 에러시 NAK, 정상시 ACK 발송 -> 다음 프레임 발송
(2) Sliding Window
- 개념 : 수신측에서 설정한 윈도우 크기만큼 송신측에서 확인 응답없이 전송할 수 있게 하여 흐름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제어 알고리즘
- 특징 : 열림(수신 ACK 도착 후 오른쪽 경계 우측 이동), 닫힘(전송 후 왼쪽 경계 우측 이동), 축소(오른쪽 경계가 좌측으로 이동)
- 동작절차_1
- 동작절차-2
오타(?) 261 -> 251
단계 | 설명 |
1 |
|
2 |
|
3 |
|
4 |
|
5 |
|
3. 어리석은 윈도우 신디롬(Silly Window Syndrome)
- 슬라이딩 윈도우 동작시 낮은 생성(송신측)/소비(수신측)으로 인한 전송 효율 감소 현상
- 해결 방안
. Nagle's Algorithm : 송신 측 방안 : 첫 데이터 발송 후 응답 수신 또는 최대 크기까지 누적 후 송신
. Clark's Solution : 수신 측 방안 : 절반 이상 공간 확보 전까지는 rwnd :0 발송 또는 응답 지연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FQ(Weighted Fair Queuing) (2) | 2022.08.27 |
---|---|
ARQ방식3가지 (0) | 2022.08.27 |
MPLS-TP vs IP-MPLS (0) | 2022.08.27 |
FHSS/DSSS (0) | 2022.08.27 |
네트워크(Network) 주소(이상희 부장님) (0)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