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목차]

 

1. 네트워크 주소의 개요

 

  • 네트워크(망) 자체를 나타내는 주소로 다른 네트워크와 구분하는 역할을 하며, 동일한 브로드캐스팅 영역을  정의하는 식별자(ID)
  • MAC(Media Access Control)주소 통용 영역, 타 네트워크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IP 주소 필요

2. 네트워크(Network) 주소에 따른 분할

1) IP를 이용한 네트워크 주소 분할

  • 네트워크 ID는 전체 네트워크가 좀 더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된, 각 호스트가 속한 네트워크를 대표
  • 네트워크 ID는 클래스에 따라 8비트, 16비트, 24비트 크기로 분류
  • IP주소 = 네트워크 ID + 호스트 ID

2) 네트워크의 분할

 

3. IPv4 클래스에서 네트워크 주소

1) 클래스별 네트워크 주소

  • IP 주소는 비트로 구분하지만 네트워크 ID를 크게 만들거나 호스트 ID를 작게 만들어서 네트워크의 크기 조정 가능
  • 네트워크의 크기는 클래스 개념으로 구분하며, IP 주소는 네트워크의 규모에 따라 A, B, C, D, E 클래스로 구분
  • D 클래스는 IP 멀티 캐스팅용으로, E 클래스는 연구 및 특수 용도로 사용하는 주소이므로 일반 네트워크에서는 A 클래스(대규모 네트워크 주소), B 클래스(중형 네트워크 주소), C 클래스(소규모 네트워크 주소)를 사용 가능
  • 다음 그림과 같이 IP 주소 맨 처음 바이트의 첫 1비트가 0이면 A 클래스, 첫2비트가 10이면 B 클래스, 첫 3비트가 110이면 C 클래스, 첫 4비트가 1110이면 D 클래스, 첫 4비트가 1111이면 E 클래스

2) IPv4 클래스 유형

클래스 설명
A 클래스 처음 8(유효 7) 비트가 네트워크 ID이고 다음 24비트가 호스트 ID
B 클래스 처음 16(유효 14)비트가 네트워크 ID이고 다음 16비트가 호스트 ID
C 클래스 처음 24(유효 21)비트가 네트워크 ID이고 다음 8비트가 호스트 ID

 

4. 네크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1)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설정

  • 컴퓨터에 할당할 수 없는 특별한 IP 주소인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컴퓨터나 라우터가 자신의 IP로 사용할 수 없는 주소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C 클래스의 사설 IP 주소 경우 예)

     -  네트워크 주소는 호스트 ID가 2진수로 00000000이고 10진수로 0인 주소.

     -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호스트 ID가 2진수로 11111111이고 10진수로 255인 주소

2)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 활용

  • 네트워크 주소 활용

     - 네트워크 주소는 전체 네트워크에서 작은 네트워크를 식별할 때 사용

     - 호스트 ID 10진수로 0이면 그 네트워크 전체를 대표하는 주소 (전체 네트워크의 대표 주소가 네트워크 주소)

     - IP 주소가 192.168.35.1~192.168.35.5인 컴퓨터는 192.168.35.0(네트워크 주소)의 네트워크에 있음

  • 브로드캐스트 주소 활용

     -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컴퓨터에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전용 IP 주소

     - 전체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호스트ID 255를 설정

     - 브로드캐스트 주소 192.168.35.255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컴퓨터가 데이터를 수신

  •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자신의 IP 주소로 설정할 수 없음

5. 인터넷 주소 체계

식별자 구분 내용
호스트 이름
(Host/Domain Name)
정의 - 사용자 관점의 이름 체계도메인 네임 서버(DNS - IP변환) 사용
특징 - TCP/IP 사용자 호스트와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식별자, 7계층
- 사용자 관점에서 알파벳과 숫자 등의 조합으로 구성이해하기 쉬운 구조
인터넷 주소
(Internet Address)
정의 - 일반적인 IP 주소인터넷에서 유일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주소(ARP - MAC 변환)
특징 - 인터넷 상에서 라우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물리적인 네트워크 주소와 일치하는 개념으로 부여된 32비트, 128비트의 주소, 3계층
물리 주소
(Physical Address)
정의 - 물리적 망에 접속된 각 장치에 대한 유일한 물리적 하드웨어(NIC) 주소, 2계층(MAC)
특징 - 근거리 통신망의 데이터 링크는 48비트의 주소 체계를 사용각 호스트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 주소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FQ(Weighted Fair Queuing)  (2) 2022.08.27
ARQ방식3가지  (0) 2022.08.27
흐름제어  (0) 2022.08.27
MPLS-TP vs IP-MPLS  (0) 2022.08.27
FHSS/DSSS  (0) 2022.08.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