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목차]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 why ? 통신 상에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
- what ?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를 검출하고 재전송하는 것 !
- how ? Stop and Wait ARQ, Go back N ARQ, Selective-repeat ARQ
ARQ 정의
- 통신 상에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데이터 전송 중 에러가 있는 경우 에러를 검출하고 재전송하는 에러 검출 기술
- 송신측과 수신측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 시, 수신측에서는 오류검출을 수행하고, 수신측에서 오류가 검출된 경우 송신측에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술
- 특징
- 오류 검출 : 체크섬(Checksum), CRC
- 수신 여부 피드백 : 긍정(ACK), 부정(NACK) 여부 확인 응답
- 재전송을 통한 신뢰성 확보 (RTO, ACK)
ARQ 방식
1) Stop-and-Wait ARQ
- Sender에서 한 프레임을 전송한 후 일정 시간 동안의 ACK 또는 NACK를 기다리는 오류 검출 방식
- 특징
- 가장 단순한 구현
- 한번에 하나의 프레임 전송과 송신측의 대기시간으로 전송 효율 낮음
- 거리가 멀수록 응답을 기다리는 시간 지연 발생
- 전송 절차
- Sender에서 1개의 프레임을 전송
- 오류가 없는 경우 Receiver에서 ACK를 전송
- 오류가 있는 경우 Receiver에서 NACK를 전송 후 Sender에서 재전송
- ACK를 받기 전에 Timeout이 발생할 경우 오류로 간주하고 프레임을 재전송
2) Go-Back-N ARQ (슬라이딩 윈도우 프로토콜)
- 연속으로 순차적으로 프레임을 전송하다가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 발생 블록 이후의 모든 블록을 재전송 하는 오류검출 방식
- 특징
- Stop & Wait 의 전송효율 단점 극복
- 연속적으로 여러개의 프레임(윈도우)를 순차적으로 전송
- 하나의 프레임이 손상되어도 모든 프레임 재전송
- 잡음이 많은 채널의 경우 재전송이 반복되어 문제 발생
- 전송절차
- Sender에서 순차적으로 여러개의 프레임(윈도우)을 순차적으로 전송
- Receiver로 부터 NACK를 받거나 Timeout이 발생
- 오류가 발생한 시점 이후의 전송이 완료된 프레임이더라도 재전송 수행
3) Selective Repeat ARQ
- 전송된 프레임 중에서 오류가 발생한 수신 패킷만을 재전송하는 오류검출 방식
- 특징
- 연속적인 프레임 전송
- 손상된 프레임만 재전송
- 수신측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전 순서대로 조립 필요
- 전송하는 프레임 별 버퍼 필요
- 전송절차
- 연속적으로 프레임을 전송
- NAK 또는 Timeout이 발생한 경우 손상된 프레임만을 재전송
- 수신 측에서는 데이터를 받아서 재조립을 수행
'메가노트 > 토픽과제(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리벡터 라우팅(Distance Vector Routing) (0) | 2022.08.27 |
---|---|
WFQ(Weighted Fair Queuing) (2) | 2022.08.27 |
흐름제어 (0) | 2022.08.27 |
MPLS-TP vs IP-MPLS (0) | 2022.08.27 |
FHSS/DSSS (0) | 202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