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OS 목차]

 

1. 메커니즘 일치화,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개념

  • 시스템 내부 저장소와 외부 I/O 장치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위해 데이터의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는 일치화 기술
구분 설명
입력장치 인터페이스 입력장치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퓨터 내부의 중앙처리장치나 주기억장치에서 운영 가능하도록 데이터 및 처리방법을 일치시키는 기술
출력장치 인터페이스 컴퓨터 내부의 중앙처리장치나 주기억장치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출력창치에서 운영 가능하도록 데이터 및 처리방법을 일치시키는 기술

 

2. 입출력 인터페이스 구성 및 기능

1) 입출력 인터페이스 구성

2) 입출력 인터페이스 기능

기능 처리 방법
데이터 전송 속도 동기화 두 장치 사이에 입출력 데이터 버퍼(I/O data buffer)를 두고 버퍼의 상태를 나타내는 B(busy) D(done) 플래그 사용하여 동기화
데이터 형식 및  단위 조정 데이터 형식변환(Word) 및 입출력 장치별 직렬 또는 병렬전송 방법
다양한 장치 운용방식 대응 다양한 주변창치의 입출력 동작방식에 대한 자율성 격리(시스템 내부 포함 불가능)
입출력 에러 대응 패리티(Parity) 비트 사용되울림(Echo) 반복입출력 반복(Retry), 오류 검사/수정코드(Error detection/correction code) 방법

 

3. 입출력 인터이스와 시스템 내부버스 비교

비교항목 입출력 장치(I/O Device) 시스템 내부버스
데이터 전송 속도 저속(ms단위) 고속(ns단위)
데이터 처리 단위 Byte/Bit Word(32/64bit)
에러 발생율 오류율 상대적 높음 오류율 낮음
동작 자율성 자율적(입력장치별) 또는 타율적 엄격한 동기화

 

 

 

[CA/OS 목차]

1. 최적의 시스템 성능 효율을 위한 주기억장치 메모리 관리 기법 개요

 가. 기억장치 관리 기법의 개념

  -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 운영체제에 의해 동적으로 메모리의 사용자 영역을 여러 프로세스가 상주할 수 있도록 세분화 하는 기법

  - 한정적인 메모리의 용량을 여러 응요 프로그램의 사용을 위해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 기법 필요

 

 나. 기억장치 관리 기법의 유형

 -  기억 장치 구성 정책 결정된 상태에서 시스템 성능을 최대 높이기 위해 반입,배치,교체,할당 기법 결정 필요함.

 

2. 기억장치 관리 기법 설명

 가. 반입 기법과 배치 기법 설명

구 분 세부 기법 설 명
반입 기법 - 요구 반입 기법 - 필요 할때 적재(Load)하는 방법
- 다음에 실행 될 프로세스가 참조 요구가 있을 경우 적재 
- 예상 반입 기법 - 시스템의 요구를 예측하여 미리 메모리에 적재
- 요구되는 페이지 이외 다른 페이지도 함께 적재
배치 기법 - 최초 적합 - 여러 유휴 공간들을 차례로 진행 중에 저장 할 수 있을 만큼의 크기를 가진 부분을 최초로 찾으면 할당하는 기법
- 최적 적합 - 요구하는 크기보다 크면서 가장 크기가 비슷한 공간을 채택하여 할당 하는 방법(공백 최소화 장점)
- 최악 적합 - 존재하는 여러 공백 중 가장 큰 부분을 찾아 할당
- 할당하고 남은 부분이 큰 경우, 다른 프로그램 할당 가능

나. 교체 기법과 할당 기법 설명

구분 세부 기법 설 명
교체 기법 - FIFO - 가장 먼저 기억장치에 들어와 있는 페이지와 교체시키는 방법
- Optimal - 앞으로 사용하지 않을 페이지 대체
- 현실적 구현이 어려워 비교 연구를 위해서 주로 사용
- LRU(Least Recently Used) - 현시점에서 가장 오래 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제거 방법
- 시계 알고리즘 -  FIFO 기반으로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참조비트를 추가
- 원형 버퍼 큐로 배치, 참조비트가 0인 페이지 교체
- LFU(Least Frequently Used) - 사용 빈도가 가장 적은 페이지 즉, 호출된 횟수가 가정 적은 페이를 교체
- 최근 사용하지 않음
할당 기법
- 연속 할당 - 프로세스를 메모리에 올릴 때 그 주소 공간을 여러개로 분할 하지 않고 물리적 메모리의 한곳에 연속적으로 적재하는 방식
고정 분할 - 물리적 메모리를 고정크기로 분할
가변 분할 - 분할 하지 않음(배치: 최초,적합,최악)
- 불연속 할당 - 하나의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여러 개의 블록 또는 세그먼트로 나누어져 주기억 장치내에 분산 배치되도록 적재하거나 보관하는 것
페이징 - 각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을 동일한 크기의 페이지로 잘라서 메모리에 페이지 단위로 적재
세그먼테이션 - 프로그램의 주소 공간을 코드, 데이터, 스택 등 의미 있는 단위인 세그먼트로 나누어 적재
페이지 세그먼테이션 - 세그먼트 하나를 다수의 페이지로 구성

 

3. 단편화(Fragmentation)

 - 주기억 장치 상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지 못하고 낭비되는 부분적인 기억 공간을 의미

 가. 단편화 개념 및 종류 설명

나. 단편화 해결 기법

 해결 기법 설  명
통합(Coalescing) - 비어 있는 기억 장소와 인접되어 있는지를 점검, 하나의 공백으로 합치는 기법
압축(Compaction) - 산재 되어 있는 모든 공백들을 하나의 공백으로 모으는 기법
프레임(Frame)기법 - 메모리를 일정한 크기로 나누어 관리함으로써 내부 단편화 문제 해결 기법 
버디(Buddy)알고리즘 -  크기를 절반씩 분할하면서 가장 잘 맞는 크기의 메모리를 찾아 할당 후 통합 하는 알고리즘 
Slab Allocation - 슬랩 할당자는 미리 할당해 놓은 작은 메모리 조작을 kmalloc() 의 요청에 따라서 요청한 양이 가장 가까운 메모리 조가을 반환함

 

4. FIFO ANOMALY(Belady's Anomaly)

 가. FIFO Anomaly 정의

 -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중의 하나인 FIFO(First In First Out)에서, 페이지 프레임의 개수를 늘렸는데도 불구하고 Page Fault 발생이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

- 프레임수가 3개일 경우, 9번의 페이지 부재 발생하지만 프레임수를 4개로 증가 시켰을 때 오히려 페이지 부재가 10회 증가됨.

 나. FIFO Anomaly 해결 방법

 

5. Second Chance Replacement

  - FIFO의 잦은 페이지 교체의 단점을 방지 위해 참조비트를 두어 1일 경우 0으로 지정한 후 FIFO 리스트의 마지막으로 피드백 시켜 다음 순서를 기다리게 하는 알고리즘

장점 단점
- 자주 참조 되는 페이지에 기회를 줌으로써 페이지 부재현상 최소화
- FIFO의 알고리즘의 단점 보완
- 모든 페이지의 참조비트가 "1"인 경우 환형 큐를 돌면서 계속해서 2차 기회 부여함으로써 성능 하락

-끝-

[CA/OS 목차]

 

 

1. 페이징기법

- 고정분할 방식을 이용한 가상메모리 관리 기법으로, 물리 주소 공간을 같은 크기로 나누어 사용

- 책 한쪽 한쪽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다는 의미에서 페이지라는 명칭 사용

- 가상주소에서의 페이지와 구분을 하기 위해 물리주소에서는 프레임이란 명칭 사용

- 가상주소의 페이지가 물리주소의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매핑한 테이블, 페이지(매핑)테이블

 

- 페이지테이블 매핑 방식

 1) 직접매핑 : 모든 페이지 테이블을 물리 메모리에 가지고 있는 방식

 2) 연관매핑 : 전체 페이지 테이블을 스왑영역에 두고 페이지 테이블의 일부를 물리 메모리에 가져오는 방식

   - 일부 테이블을 변환색인버퍼(TLB) 또는 연관레지스터라 함

 3) 집합-연관매핑 : 

 4) 역매핑 : 

2. 세그먼테이션 기법

- 가변분할 방식을 이용한 가상 메모리 관리기법으로, 물리 메모리를 프로세스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나누어 사용

- 세그먼트가 자신에게 주어진 메모리 영역을 넘지않기 위해 Size 대신 Limit이란 용어를 사용

3. 세그먼테이션-페이징 혼용 기법

- 페이지로 분할된 가상주소 공간에서 서로 관련 있는 영역을 하나의 세그먼트로 묶어 세그먼테이션 테이블로 관리하고, 각 세그먼트를 구성하는 페이지를 해당 페이지 테이블로 관리하는 방식

[CA/OS 목차]

 

1. 버스 병목현상 제거된 두뇌 모방 컴퓨팅칩, 뉴로모픽 반도체(Neuromorphic chip) 개요

  • 다수 저전력 코어뉴런-시냅스 구조로 구성, 대규모 병렬 처리와 연산, 추론 및 인식에 강점 가진 시스템 반도체
  • 특징) 메모리 병목 해결, 저전력 다수 코어, 대규모 병렬 처리

2. 뉴로모픽 칩의 구조원리 및 적용기술 

1). 뉴로모픽 칩의 구조 원리

  ‒ 주로 병렬로 다양한 입출력을 동시에 데이터 처리하는 방식

 

2). 뉴로모픽 칩의 적용 기술

구분 적용 기술 설명
스냅틱
코어
- Axon[(신경 세포의) 축색 돌기] 입력뉴런. 이전 코어에서 신호 수신
- Dendrite[(신경 세포의) 수상 돌기] 출력뉴런, 다음 코어로 신호 전달
- Synapse crossbar 입력 뉴런과 출력 뉴런의 전기적 연결 기술
신경망
신호처리
- Weight 출력에서 입력 신호 전달 활성화
- Spike 뉴런 통해 전달되는 임계 전압
(전압 또는 전류 스파이크로 뉴런에게 전달)
- PRNG 뉴런 연산시 의사 난수 생성(Pseudorandom Noise Generator)

‒ Synactic core는 학습을 통해 synapse cross를 활성과 비활성 시켜, spike 전달 여부를 결정

 

3. 뉴로모픽 칩과 기존 반도체 비교  

항목 뉴로모픽 칩 기존 반도체 칩
구성 뉴런, 시냅스(병렬식) CPU, RAM, I/O(직렬식)
처리 데이터 디지털, 아날로그 디지털
처리 방식 병렬 처리 순차 처리
기본 소자 뉴런 논리 소자
실행 근거 학습 사전 프로그래밍
정보 저장 뉴런 간 연결강도 기억장치(RAM)
특징 낮은소모전력,학습 뛰어난 연산 능력
응용분야 연상, 추론, 인식 복잡한 계산

- 뉴로모픽 칩을 이용한 뉴로모픽 컴퓨팅 시스템으로 대규모 병렬 처리

 

참고1) 폰노이만 병목현상이란?

  1). 폰노이먼 구조 : 프로그램과 데이터영역 , 물리적 구분 없기 때문에 명령어+데이터가 같은 메모리, 버스 사용, 즉 CPU는 명령어, 데이터 동시 접근 불가한 아키텍쳐 CPU는 메모리로부터 명령어 fetch(인출) -> decode(해석) -> excute(실행) -> store(저장) 순,  폰노이먼은 내장 메모리 순차 처리 방식이라고도 함.

   2). 폰노이먼 병목 현상 : 뇌(CPU)에서 연산 속도 빠름, memory에서 데이터를 불러오는 속도 느리면 전체적 속도 느려짐. 즉, 계산속도는 기억장치에 영향 받음, 기억장치의 속도가 전체 시스템의 성능 저하 야기 

   3). 극복방안 : 하버드 구조(명령어, 데이터 버스 구분)->이것도 폰노이먼 구조기반으로 만들어져 근본 원인 해결은 아님, 대칭형 다중처리(SMP), 대규모 병렬컴퓨터(MPP) -> 병렬처리방식(하나의 프로그램 여러개 프로세서로 분담 동시 처리(속도는 빠라지고, 효율성)

 

참고2) 저전력 반도체 기술

    1). 반도체공정기술 : 미세해질수록(나노공정) 일정 면적에 반도체칩 더 많은 트랜지스터(transistor)를 담을 수 있음 

       칩에 더 많은 기능 장착 가능,

      크기 작아지면 짧아진 선로(interconnect) 길이로 인한 속도 증가.

       반도체 구동 위한 공급전압(supply voltage) 줄일 수 있음. -> 즉, "칩의 소비전력 줄임"

       물론) 단위 면적단 전력 전력 밀도가 높아짐->좁은면적에서 많은 열 발생, 열방출도 쉽지 않음

    2). 반도체 설계 시 저전력 설계 방법 채택 : 설계 시, Gate수 고려, 칩 동작온도 고려[millitary(-55~125), AECQ100-1 (-40~125), Industrial(-40~85), Commercial(0~70)]

    3). 반도체칩 기능 제한(Spec)

 

[빅데이터/인공지능 목차]

 

 

1. 기울기소실(Gradient Vanishing) 의 정의

  - 깊은 신경망을 학습할 때 역전파 과정에서 미분값이 사라지면서 학습이 중단되는 현상

  - 각 계층에서의 미분값이 0에 가까울 수록 입력층에 가까운 가중치들의 변동이 줄어들어 학습이 중단되는 현상

 

2. 기울기소실 개념도

3. 기울기소실을 발생시키는 활성화함수

4. 기울기소실 해결방안

  - Relu 활성함수 이용. Relu의 도함수는 상수값(0, 1)이므로 가중치변화가 계속 작아지는 문제 사라짐

 

 

경사하강법

  - 손실함수의 최소지점을 찾기 위해 경사가 가장 가파른 곳을 찾아서 한걸음씩 내려가는 방법

 

경사하강법에서의 가중치 업데이트식

 

그레이디언트 값을 구하기 위해 합성함수의 미분을 수행. (연쇄법칙 필요)

-> 각 계층에서의 활성화함수나 가중합함수의 미분값을 계산해서 서로 곱해서 구함

-> 미분값이 1보다 작은 값이면 가중치의 변화율이 점점 줄어들어 효과가 줄어드는 기울기소실 문제가 발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