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9회 예상문제(토픽)

 

정보관리 118회 3교시

 

6. 당신은 어느 한 프로젝트의 PM이다. 아래 사항을 참조하여 다음을 설명하시오.(문경숙)
-----------------------------------------------------------------------------------------------
1. 프로젝트 수행기간의 목표는 25일이다.
2. A 액티비티는 소요기간이 10일이다.
3. B 액티비티는 A 액티비티가 완료된 후에 시작할 수 있으며, 소요기간이 13일이다.
4. C 액티비티는 소요기간이 12일이다.
5. D 액티비티는 C 액티비티 완료된 후에 시작할 수 있으며, 소요기간이 15일이다.
-----------------------------------------------------------------------------------------------
가.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작성하시오.
나. 주경로의 수행기간을 계산하시오.
다. 목표 수행기간을 맞추기 위해서 수행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라. 일정을 단축하기 위해 기존팀원 5명에 더해 팀원 1명을 추가로 투입하였다. 의사소통 수(커뮤니케이션 통로의 수)가 기존보다 얼마나 더 늘어나는지 계산하시오.
마. 프로젝트 획득가치관리(Earned Value Management)보고서에 EV=95백만원, PV=110백만원, AC=100백만원, BAC=950백만원이다. CV와 CPI를 구하고 현재까지의 작업효율이 유지될 경우의 EAC를 계산하고 설명하시오.
(단, EV : Earned Value, PV : Planned Value, AC : Actual Cost, BAC : Budget At Completion,
CV : Cost Variance, CPI : Cost Performance Index, EAC : Estimate At Completion이다.)

 

문6) 1)네트워크다이어그램, 2)주경로 수행기간계산, 3) 수행기간단축방법, 4) 의사소통수증가량계산 5) CV, CPI, EAC 계산, 설명

답)

I.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활동 표현방법 예]

여유시간=늦은종료일(LF)-빠른종료일(EF)=늦은 개시일(LS)-빠른 개시일(ES)

 

II. 주경로의 수행기간 계산

- 주공정법(Critical Path Method)은 프로젝트의 최소 기간 결정에 사용되는 일정 네트워크 분석 기법

- 주공정 경로(Critical Path)는 여유시간(float)이 '0'인 활동을 연결한 최소 경로

 

주경로(Critical path) 주경로(Critical path) 수행시간
C->D 27일

-. 프로젝트 목표는 25일이나 현재 프로젝트 주경로 수행기간은 27일.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2일의 일정단출이 필요함

-. 일정 단축기법인 공정압축법(Crashing)과 공정중첩 단축법(Fast Tracking) 활용하여 기간 단축 수행

 

III. 목표 수행기간을 맞추기 위해서 수행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 설명

일정 단축기법 설명 사례
공정압축법
(Crashing)
자원 추가를 통한 일정 단축 기법
비용과 시간 사이의 상충관계를 분석하여 최소한의 자원 추가로 최대한의 시간을 단축할 방법을 결정
주공정 경로(Critical Path)의 활동 중 비용 대비 효과가 높은 활동에 우선 투입하여 효과를 높일 수 있음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
초과근무
추가 자원 투입
공정중첩 단축법
(Fast Tracking)
일정 계획상의 활동 간의 의존성을 조정해서 순서상의 활동을 중첩 진행하여 일정을 단축하는 기법
활동을 중첩하는 경우에만 효과가 있고 재작업의 위험이 높아지는 단점
활동의 중첩

 

IV. 기존 팀원 5명에 더해 팀원 1명 추가 투입, 의사소통수 증가량 계산

 

-. 의사소통채널수=N*(N-1)/2

구분 인원수 의사소통 채널 수
현재 6명= PM1명 + 팀원 5명 15 = 6 * 5 / 2 
팀원 1명추가 7명= PM1명 + 팀원 6명 21 = 7 * 6 / 2 
증가 1명 = 7명 - 6명  6= 21 - 15 

기존대비 추가 인력 1명 투입시 의사소통채널수는 6증가함

프로젝트 관리자는 의사소통의 복잡성을 나타내는 의사소통 채널수를 고려해야함

의사소통채널 수를 계산할 때 프로젝트관리자를 포함하여 채널 수 계산

 

V. CV, CPI, EAC 계산, 설명

- EV=95 백만원, PV=110 백만원, AC=100 백만원, BAC=950 백만원

- EV : Earned Value, PV : Planned Value, AC: Actual Cost, BAC: Budget At Completion, CV : Cost Variance, CPI: Cost Performance Index, EAC : Estimate At Completion

구분 지표 풀이 설명
측정요소 EV
(Earned Value)
95백만원 획득 가치: 작업이 수행된 결과를 원가 로 측정한 값
PV
(Planned Value)
110백만원 계획 가치: 계획하고 승인된 일정이 잡 힌 작업들의 예산
AC
(Actual Cost)
100만원 실제 원가: 특정 기간 동안 작업 활동을 수행하는데 실제 지출한 원가
BAC
(Budget At Completion)
950백만원 - 완료 시점 예산: 전체 계획 가치
분석요소 CV
(Cost Variance)
EV-AC = 95백만원-100 백만원 = -5백만원(예산초과) 원가차이: 획득한 원가에서 현재 지출한 원가를 빼면 됨
CPI
(Cost Performance Index)
EV/AC = 95백만원/100 백만원 = 0.95(예산초과) 원가 성과 지수: 어느 시점에 실제 원가 지출의 효율성을 측정한 지수
예측요소 SV
(Schedule Variance)
EV-PV = 95백만원-110 백만원 = -105백만원 일정 차이: 획득 가치(EV)와 계획 가치(PV)에서 계산 되는 차이
SPI
(Schedule Performance
Index)
EV/PV = 95백만원/110 백만원 = 0.86 일정 성과 지수: 현 시점에서 일정에 대 한 성과 표현 기법
EAC
(Estimate At Completion)
BAC/CPI = 950백만원 /0.95 = 1000백만원 완료 시점 산정치: 프로젝트에 대한 미래 예측

CP < 1 비효율적인 지출과 SPI <1 프로젝트 일정도 지연되고 있음

현재 상태로 프로젝트가 진행될 경우, 예산의 초과와 일정의 초과가 예상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