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술 목차]

1. 드론 택시의 현실 상용화, UAM(Urban Air Mobility)의 개요

 가. UAM 의 정의

  - 수직 이착륙(V-TOL)이 가능한 개인항공기(PAV)와 목적 기반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하늘을 이동 통로로 활용하는 미래의 도시 교통 체계

 나. UAM 의 등장 배경

등장배경 설 명
도심 이동 효율성 문제 - 대도시권 인적자원 집중으로 도시 지상교통 혼잡 문제 발생
교통 이용형태 변화 - MaaS 및 Seamless Service 확대 따른 교통수단 소유 보다 서비스 이용 중점

 - eVTOL(Electric Vertical Take Off & Landing, 전기동력 분산 수직이착륙기) 기술 발전으로 실현 가능성 증대

2. UAM의 구성도 및 기술요소

 가. UAM의 구성도

   - UAM 의 산업 생태계 측면 관점의 구성도임

   - 기체/부품, 항행교통관리, 인프라, 서비스, 비행기술 부문으로 정부 기술 로드맵 추진

 

 나. UAM의 기술 요소

구분 핵심 기술 요소 설 명
기체/부품 - UAM 경량화 제작
- UAM 동력 추진
- eVTOL
- 경량/복합소재 인증체계 및 기준/절차 신소재 시험 평가
- 전기구동장치, 프로펠러, 전기동력 저장/공급 시스템
- 전력 사용 수직으로 호버링(정지비행), 이착륙 모빌리티
항행 교통관리 - UAM CNSi
- UAM 통합관리
- 통신시스템(C), 항법시스템(N), 감시시스템(S)
- UAM 실시간 운항, 스케쥴링, 위험도관리, 가상 통합
인프라 - 버티포트 시스템
- 5G NSA/SA
- Vertical Flight + Port, UAM 용 이착륙, 충전인프라 제공
- Mobility 와 Vertiport 시스템, 관제센터 무선 통신 제공
서비스 - MRO
- 운항정보 수집분석
- 항공기 정비(Maintenance, Repair and Operations)
- 도심운용 3차원 공역 공간 정보 생성, 도심기상 정보 수집분석
비행기술 - UAM 자율 항법
- UAM 기체소음 진동 저감
- UAM 완전 자율비행 조정, 전천후 상황인지 충돌회피 기술
- 소음진동 저감 프롭로터 기술, 기체용 소음진동 제어기술

- 정부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 및 기술 개발 로드맵 발표 추진 진행중

 

3. 한국형 도심교통(K-UAM)의 추진 전략

번호 추진 전략 상세 과제
1 안전 확보를 위한 합리적 제도 설정 - 국내 실정에 맞는 운항 기준 마련
- 합리적인 기체,Vertiport 구축/운영 기준 마련
2 민간 역량 확보, 강화를 위한 환경 조성 - 비행환경, 기술개발 지원
- 교통,기상, 공간 데이터 지원
3 대중수용성 확대를 위한 단계적 서비스 실현 - 화물에서 사람으로 단계적 확대
- 마중물로 공공서비스 활용
4 이용 편의를 위한 인프라 연계교통 구축 - 민간과 공공의 상생 인프라 구축
- 기존 교통수단과 연계교통체계 마련
5 공정 지속가능하고 건전한 산업생태계 조성 - 공정한 UAM 운영사업의 틀 마련
- 보험제도, 서비스 안전 수익보장장치 마련
6 글로벌 스탠다드와 나란히 하는 국제 협력 확대 - 국제 UAM  공동연구 수행
- 주기적 국제 컨퍼런스, 세계 유수기업 유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