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OS 목차]

 

스토리지 가상화 (Storage virtualization)

 

1. 이기종 스토리지 통합기술, 스토리지 가상화 개념

  • 여러 대의 이기종 저장 장치를 저장 풀 하나로 만들어 여러 기기 간 데이터 이동 및 복제, 이기종 서버 간 블록 단위의 데이터 공유 등을 제공하는 기술
  • 가상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별도의 하드웨어 장비 등을 통해 이기종 스토리지를 통합하는 기술
  • (특징) 공유(Sharing), 단일화(Aggregation), 에뮬레이션(Emulation), 절연(Insulation)

  • 공유 : 서버 내의 논리적 분할, 가상머신(VM), 가상 디스크, 가상 LAN(VLANs)
  • 단일화 : 공유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여러 자원에 걸쳐 가상화 공간 생성 가능
  • 에뮬레이션 : 물리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기능을 가지는 것
  • 절연 : 가상화 자원과 물리자원의 상호 맵핑,  RAID 스토리지 컨트롤러(장애 방지)

2. 스토리지 가상화 유형

1) 스토리지 가상화 유형

  •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애플리케이션의 가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상화를 활용

 

2) 스토리지 가상화 세부 유형

유형 구현도 설명
블록 가상화
- 물리적으로 다른 스토리지 컨트롤러에 들어있는 유휴 디스크 조각을 모아서 가상 디스크를 생성
- 어플라이언스 형태(예, IBM SAN Volume Contoller 또는 IBM SVC), 지능적인 SAN 스위치(예, EMC의 Invista), 스토리지 컨트롤러 자체에 임베디드된 형태(예, 히타치의 TagmaStore)
파일 가상화
- 이기종 서버 간 파일공유를 통해 동일한 파일명을 사용하여 공통된 파일 그룹 접근
- 서로 다른 서버들간에도 HA(Hardware Address)를 위한 클러스터가 가능
테이프 가상화
- 디스크를 테이프 드라이브 자원인 것 처럼 에뮬레이션 하여 실제 데이터를 백업받는 기술
- 데이터 고속 백업 가능

 

3. 스토리지 가상화 사용 기술

구분 기술 설명
공유 가상 LAN(VLAN) 기술 -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며, 컴퓨터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실제 연결되지 않았으나 마치 물리적으로 연결된 것 처럼 설정
- IP-Sec 프로토콜, 터널링 기술
다중 호스팅 지원 HTTP 서버 - 성능향상을 위해 하나의 물리적 서버가 다수의 가상 어플리케이션 서버처럼 보이도록 가상 로컬 IP Address 사용 
어댑터 가상화 기술 - 네트워크 연결 단순화 기술
자원 풀링 IP 워크로드 밸런싱 기술 - 가용성에 따라 워크로드 밸런싱 수행
N/W 어댑터 가상화 기술 - 다수의 어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연결을 연관된 IP Address로 이동시켜 동일한 인스턴스로 보이도록 구현
- 별도의 동적 라이팅 구성 없이 가용성 확보 가능
에뮬레이션 추상화 추상화 기술 - 가상 이더넷 LAN

+ Recent posts